수연 ()

목차
관련 정보
휘수연석
휘수연석
과학기술
개념
크롬족에 속하며 은백색의 광택을 내는 금속원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크롬족에 속하며 은백색의 광택을 내는 금속원소.
내용

원소기호는 Mo, 원자번호는 42, 원자량은 95.94이다. 수연의 영어표기인 몰리브디넘(molybdenum)은 옛날 그리스어로 납이라는 뜻의 몰리브도스(molybdos)에서 유래된 말이다.

녹는 점 2,620℃, 비중 10.28로 전성 · 연성이 있고, 주조(鑄造) · 압연(壓延)도 가능하다. 녹는 점이 높고 극저온에서 상온 · 고온에 이르기까지 기계적으로 매우 강하다. 다른 금속에 첨가하면 경도가 커지고 내열성(耐熱性) · 내식성(耐蝕性)이 커지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성질에 따라 합금강(合金鋼) · 스테인리스강 · 공구강 · 주철 · 초합금(超合金) 등의 용도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특수강은 자동차 · 석유공업에 사용되는 외에 항공기용 제트엔진 등에 이용된다. 금속수연은 소결하여 선(線)이나 판(板)으로서 전자관 · 백열전등 외에 통신기 부품재료 · 화학공업원료로 사용된다. 황화수연은 윤활제로도 사용된다.

수연은 지구상에 비교적 널리 존재하나 그 양은 많지 않다. 또 수연을 포함하는 광물의 종류는 많으나 광석광물로서 중요한 것은 휘수연석(輝水鉛石)이고 화학조성은 MoS₂이다. 채광된 조광(粗鑛)은 파쇄, 분쇄한 후 부선(浮選)하여 86∼96% MoS₂의 정광(精鑛)으로 생산된다. 우리 나라의 수연광석은 페그마타이트광상 · 스카른광상 · 열수광상에서 산출된다. 자원면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반암형(斑巖型) 수연광상이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스카른광상과 열수광상이 주를 이룬다 〈표〉.

광상 성인형 주요 광석 광물 지역 광산명
페그마타이트광상 長水
스카른광상 수 · 회중 · (창) 上東
수 · 아연 新禮美
수 · 자철 東南
錦城
열수광상 광맥형 철중 · 수 · (회중) 月岳 · 琇山 · 水里
철중 · 수 · (회중) 大華 · 敦山 · 縣洞
철중 · 수 · (회중) 用夏 · 丹堤 · 三德
철중 · 수 · (회중) 南陽 · 加里山
철중 · 수 · (회중) 山內 · 東寶 · 白陽
철중 · 수 · (회중) 靑陽 · 靑豊
회중 · 동 福壽
광염- 三栗笑寶
광상세맥형 三東 · 玉山 · 慶州
〈표〉 우리나라의 수연광상
*주 : 지역명-① 강원 · 경북 · 충북 경계지역, ② 경기, 강원 중부지역, ③ 경북 남부, 경남지 역, ④ 기타지역.
광물명-수 : 회수연석, 철중 : 철망간중석, 회중 : 회중석, 아연 : 섬아연석, 자철 : 자 철석, 동 : 황동석, 창 : 휘창연석, ( ) 안은 소량산출광물..

우리 나라에서 수연광상이 처음 발견된 것은 1907년 경상북도 성주군에 있는 용봉(龍鳳)수연광상이다. 1914년 제1차세계대전이 발발한 후 1915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에 있는 장수(長水)광상, 1917년 강원도 고성군에 있는 금강(金剛)광상, 경상북도 울진군의 삼율(三栗)광상, 강원도 영월군 사재(四財)광상, 충청북도 제천시 수리(水里)광상과 그 밖의 광상들이 발견, 개발되었다.

우리 나라의 광상 중 동일광상에서 중석과 수연의 광석광물이 함께 산출되는 것이 많다. 이 경우 두 종류의 광석 중 산출량과 경제적 중요성으로 보아 각각 수연광상 또는 중석광상이라 불리고 있다.

한 광상에서 상부에서는 중석광석이 주로 산출되다가 광상의 하부로 가면서 수연광석이 점차 증가하여 수연광상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다. 강원도 영월군에 있는 상동(上東)광산에서 많이 산출되는 파우에라이트(powellite)의 화학조성은 Ca(W,Mo)₄로 중석과 수연의 광석광물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김옥준교수정년퇴임기념 지편집위원회, 1982)
『자원총람』(동력자원연구소, 1985)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