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국(金恩國)이 지은 장편소설. 원제명은 ‘The Martyred’(George Braziier Inc., N.Y.C., 1964)이다. 영문으로 된 이 소설은 1965년장왕록(張旺祿)이 한국어로 번역하여 삼중당(三中堂)에서 간행하였다.
이어 1990년 저자 자신이 한국어판 <순교자>를 을유문화사에서 간행하였다. 대학 강사를 지낸 이 대위는 육군특무대로 평양에 파견되어, 육군본부 파견대 정보국장 장 대령의 휘하에서 근무한다.
그러다가 6·25 당시 12명의 목사가 평양에서 순교한 사실을 조사하게 된다. 차차 조사 과정에서 순교자들의 신앙과 순교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캐어 들어간다.
이와는 달리 장 대령은 공산당에게 희생당한 12명의 순교자를 애국적인 관점에서 추모식을 크게 거행하여 평양의 신도들과 시민들에게 자유민주주의의 우월성과 정신적 승리를 알려주려고 하는 국가주의적 견지를 보인다.
그런데, 애초에 14명의 목사가 체포되어 12명은 순교하였으나 신 목사와 한 목사는 생존하였다는 사실을 알고 이 대위는 이 두 생존자를 찾아 순교자들의 최후의 모습과 그 신앙의 진실성을 확인하는데 마음을 기울인다. 여기서 이 대위는 진실을 추구하는 진지한 자세와 냉철한 지성의 소유자로 형상화되고 있다.
이 대위의 친구인 해병대 장교 박 대위는 그 아버지가 지나치게 신앙에 충실한 독선적 광신자였으므로 인간미가 결여된 병적인 인물로 보고 사실상 두 부자는 의절한 상태로 서로 떨어져 지낸 사실이 알려진다. 박 대위는 12명의 순교자 속에 그의 아버지가 들어있음을 듣고도 오히려 존경심보다는 광신적인 신자들이 으례 그럴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나중에 신 목사의 편지에 박 목사가 아들을 지극히 사랑한 사실과 자신이 추구하는 신앙의 궁극적 의미와 아들이 전공하는 역사학이 특수 사건에서 보편적 진실을 탐구할 때 봉착될 인류의 종말문제와 이념적 거리가 그리 멀지 않음을 말한 사실이 밝혀진다.
그리고 최후로 공산당원에 의하여 처형되면서 “기도할 수 없어”라고 말한 데서 그 아버지의 인간적인 고뇌가 담김을 깨닫고 박 대위는 순교한 아버지와 정신적 화해를 이룬다.
한편, 박 목사의 신앙심에 감동하고 따르던 젊은 한 목사는 마지막 처형장에서 박 목사가 기도를 거부한 사실에 충격을 받고 정신이상자가 되어 사형은 면하였으나 폐인이 된다.
신 목사의 생존에 관하여는 배신자라는 많은 의혹 속에 신도들의 집단항의를 받지만 12명의 처형을 목격한 공산군 정 소좌가 체포되고, 그의 실토에서 목사들이 비굴하게 죽었으나 오직 신 목사만이 당당하게 공산당원에게 저항하여 오히려 죽음을 면하였다는 진상이 밝혀진다.
여기에서 신 목사의 인간적인 성숙성과 신앙인으로서의 겸허한 자세가 절제 있고 지적인 문장으로 잘 묘사되어 있다. 특히, 중공군의 개입에 의하여 극심한 고난에 처한 피난민 신도들에 대한 헌신적인 노력의 과정과 이 대위와 장 대령의 권고를 물리치고 서울로 피난가지 않고 병든 몸을 이끌고 절망에 빠진 노약자들을 보살핌으로써 그의 고결한 인간애의 정신이 번져나게 하였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가장 주목되는 인물은 신 목사이다. 그는 극심한 절망과 고통에도 오히려 패배하지 않고 신앙의 의미를 깨닫고 실천하며 신앙적 교리의 요구와 현세적·역사적 필연성의 요구에 충실하는 삶의 자세를 보여준다.
군의관 민 소령에게서도 중공군의 개입으로 평양이 텅빈 상태에서 후퇴하다가 중지하고 중환자를 위하여 야전병원으로 복귀하는 감동스러운 직분의식과 그 인간주의의 고결한 사상적 실천을 보게 된다.
이 대위는 신이 침묵하는 시대의 지성인으로서 인간주의를 수호하는 지식인상으로 제시되고, 신 목사는 역시 신이 침묵하는 시대에 고통과 절망의 역사적 현장에 서서 신의 섭리로써 인간답게 살아갈 지혜를 구하는 숭고한 교역자상으로 나타나 있다.
이 작품은 위난의 역사적 상황에서 인간주의의 구현을 이야기로 펼쳐 보인 작품으로서 진지한 도덕적 책임을 추구한 걸작이라고 평가된다. 이른바 상황에 투신하는 도덕적 결단을 형상화한 주제가 보편적 진실의 감동으로 창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