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재고 ()

유교
문헌
조선 제23대 왕, 순조의 시 · 교서 · 유서 · 비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제23대 왕, 순조의 시 · 교서 · 유서 · 비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0권 10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167수, 율부(律賦) 4편, 악장(樂章) 1편, 치사(致詞) 1편, 사(詞) 1편, 권3∼6에 서(序) 7편, 기(記) 9편, 논(論) 12편, 발(跋) 1편, 설(說) 9편, 잠(箴) 1편, 명(銘) 14편, 송(頌) 3편, 찬(贊) 1편, 제문 43편, 비명 1편, 권7∼9에 잡저 12편, 상량문 1편, 책문 1편, 조(詔) 5편, 고(誥) 1편, 제(制) 1편, 교(敎) 6편, 주(奏) 1편, 표(表) 3편, 전(箋) 2편, 교서(敎書) 1편, 윤음(綸音) 17편, 권10∼14에 교서 239편, 유서(諭書) 97편, 권15∼20에 비(批) 403편, 판(判) 49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만당(晩唐)의 시풍을 느끼게 하는 것들이 많다. 「궁사(宮詞)」를 시제로 택한 것이 여러 수 되며, 대개 화려한 시정을 담고 있다. 논의 「왕정론(王政論)」은 왕도정치를 논한 것으로 맹자(孟子)가 제선왕(齊宣王)에게 말한 내용을 인용해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설(說)의 「군자소인설(君子小人說)」에서는 군자와 소인을 선악에 따라 구분하고 인재의 등용이 국가를 다스리는 요점이라는 소신을 피력하였다. 「절검설(節儉說)」에서는 근검·절약이 임금으로부터 솔선수범되어야 함을 중국의 여러 역사적 사실을 열거하여 설명, 군도(君道)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히고 있다.

「십팔반무예기설(十八般武藝器說)」은 십팔반무예에 사용하는 병기와 그 사용법을 설명한 것으로, 월도(月刀)·제독검(提督劒)·예도(銳刀)·왜검(倭劒)·교전(交戰)·용검(用劒)·쌍검(雙劒)·신검(新劒)·협도(挾刀)·등패(藤牌)·장창(長槍)·기창(0x9580槍)·당파(鐺鈀)·낭선(狼先)·권법(拳法)·곤봉(棍棒)·편곤(鞭棍) 등에 관해 해설하고 있다.

잡저의 「군도편(君道篇)」은 경천·애민·신사(愼祀)·독효(篤孝)·절검(節儉)·임현(任賢)·납간(納諫)·신형(愼刑) 등으로, 「군덕편(君德篇)」은 무학(懋學)·효친·경천(敬天)·법조(法祖)·애민·용현(用賢)·절재(節財)·공검(恭儉)·신미(愼微) 등으로 각각 군학(君學)에 관해 기술한 내용이다.

의의와 평가

임금의 문집이라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있다.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