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렬전 ()

목차
관련 정보
숭렬전
숭렬전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에 있는 조선후기 백제의 시조인 온조왕의 위패를 모신 사당.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숭렬전(崇烈殿)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2년 05월 04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717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에 있는 조선후기 백제의 시조인 온조왕의 위패를 모신 사당.
내용

1972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625년(인조 3)에 왕명으로 지은 것이다. 백제의 시조인 온조왕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드리던 건물로, 건립 당시의 감독관인 이서(李曙)도 뒷날 함께 배향되었다.

건물의 구성은 현재 본전(本殿) · 동재(東齋) · 서재(西齋) · 외삼문(外三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원래는 강당 · 내삼문(內三門) 등도 있었으며, 이들 건물은 6·25 때 허물어져서 주춧돌만 남기고 있다.

본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인 익공계(翼工系) 단층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면적은 18평이다. 앞쪽 반칸의 퇴(退)에는 둥근기둥을 세우고 바닥에는 전돌을 깔아 개방하였으며, 안쪽 3칸 모두에 정자살 문을 4개씩 달았다. 측면에는 박공판(牔栱板: 경사지붕 옆면에 붙인 널)을 드리웠다.

동재는 정면 3칸, 측면 2칸인 단층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면적은 약 31㎡이다. 앞쪽 반칸은 퇴로 만들고 기둥은 둥근기둥을 썼다. 양 측면에 박공널판을 달았으며 내부의 천장은 연등천장이다.

서재는 동재와 거의 같은 구성을 보이고 있으며 규모가 약간 작고 앞줄에 원기둥 대신 모기둥을 세운 점, 굴도리 대신 납도리를 쓴 점 등이 구별된다. 외삼문은 앞쪽 7.2m, 옆쪽 2.6m인 맞배지붕 솟을대문으로서 가운데 문이 한 단 높게 만들어졌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