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곡 ()

목차
관련 정보
양금신보 / 중대엽(심방곡)
양금신보 / 중대엽(심방곡)
국악
작품
『양금신보(梁琴新譜)』의 「중대엽(中大葉)」에 붙은 다른 이름.
이칭
이칭
중대엽(中大葉), 학구무가(鶴龜舞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양금신보(梁琴新譜)』의 「중대엽(中大葉)」에 붙은 다른 이름.
내용

「심방곡」의 원뜻은 미상이다. 시나위 연주자들은 시나위를 신방곡(神房曲)이라고도 하고 그 뜻을 ‘신방구지다’라고 하였으나, 그들이 말하는 ‘신방구지다’(신난다, 멋있다는 뜻)와는 다르다.

『양금신보』의 중대엽, 속칭 「심방곡」에는 다음과 같은 가사가 붙어 있다.

오ᄂᆞ리 오ᄂᆞ리쇼셔.

ᄆᆡ일에 오ᄂᆞ리쇼셔

졈그디도 새디도 마ᄅᆞ시고

새라난(나ᄂᆞᆫ)

ᄆᆡ양 댱식에 오ᄂᆞ리쇼셔

이상과 같은 「심방곡」의 가사는 1572년(선조 5)에 간행된 『금합자보(琴合字譜)』「만대엽(慢大葉)」에도 나오며,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 도공(陶工)들이 거주하였다는 구주(九州) 가고시마현(鹿兒島縣) 와시로가와(苗代川)의 다마야마신사(玉山神社)에서는 「학구무가(鶴龜舞歌)」라는 이름으로 전창되고 있어 매우 주목을 끈다.

참고문헌

『한국음악사』(장사훈, 정음사, 1976)
「금합자보(琴合字譜)」(국립국악원, 『한국음악학자료총서』22, 1987)
「양금신보(梁琴新譜)」(국립국악원, 『한국음악자료총서』14, 1984)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