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가락지 노래 (가락지 노래)

구비문학
작품
쌍가락지로 인해 여동생이 오빠에게 부정을 의심받는 내용의 민요.
이칭
이칭
쌍가락지요, 쌍금쌍금 쌍가락지, 쌍가락지타령
내용 요약

「쌍가락지 노래」는 쌍가락지로 인해 여동생이 오빠에게 부정을 의심받는 내용의 민요이다. 여성 민요의 하나로, 쌍가락지에 얽힌 짤막한 이야기를 낭송조로 읊조리는 서사민요이다. 처녀가 자는 방의 문풍지 떠는 소리를 남자의 숨소리로 착각하고 여동생의 순결을 의심한 오빠에게 여동생이 이를 해명하고 유언을 남기면서 죽어간다는 내용이다. 처녀의 순결과 정조를 생명보다 가치있게 여겼던 조선조의 정절 의식이 강하게 반영된 노래로, 죽음과 연꽃 환생의 결말은 평민 여성들이 이런 현실을 매우 고통스러워하면서도 부당하게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정의
쌍가락지로 인해 여동생이 오빠에게 부정을 의심받는 내용의 민요.
개념

「쌍가락지 노래」는 쌍가락지로 인해 여동생이 오빠에게 부정을 의심받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민요이다. 여성민요의 하나로, 쌍가락지에 얽힌 한 여성의 죽음 이야기를 낭송조로 읊조리는 서사민요이다. 노래의 첫머리가 "쌍금쌍금 쌍가락지"라는 주1로 시작하기 때문에 편의상 「쌍가락지 노래」라고 부르며, 노래의 앞부분을 따서 「쌍금쌍금 쌍가락지」라고도 한다.

음악적 특징

「쌍가락지노래」의 음악적 특징은 「시집살이노래」나 밭일할 때 부르는 노래, 아기 재울 때 부르는 노래 등 여타의 여성 서사민요와 마찬가지로 고정된 음악 어법보다는 개인의 즉흥적인 흥얼거림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낭송조의 음악은 대개 레 · 도 · 솔의 3분박 6박, 3분박 4박, 2분박 3박 등으로 부르며, 이 밖에 내방 주2조인 5박과 8박 리듬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선율면에서는 전국적으로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는 「창부타령」의 선율을 차용하기도 한다.

내용

「쌍가락지 노래」는 한 여자가 오빠로부터 외간 남자와 관계하였다는 무고한 말을 듣고 자신의 결백을 호소하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목을 매어 죽으며 유언을 남기는 내용이다. 앞 부분의 사설은 거의 "쌍금쌍금 쌍가락지 호작질로 닦아내어/먼데보니 달이러니 곁에보니 처잘레라"와 같이 달과 쌍가락지, 처자의 아름답고 서정적인 배경으로 시작한다. 그러나 곧바로 "그 처자가 자는 방에 숨소리가 둘일레라"하고 처자의 부정을 의심하는 목소리와 "홍두복숭 오라버니 거짓 말씀 말아주소" 하고 처자가 이를 부인하는 목소리로 이어지면서 매우 파격적인 전개로 이어진다. 이어서 "동남풍이 들이 불어 풍지 떠는 소릴레라/조그만한 재피방에 비상불을 피워 놓고/열 두 가지 약을 놓고 댓잎 같은 칼을 물고/명주 전대 목을 매어 자는 듯이 죽고지라/울 아버니 내 죽거든 앞산에도 묻지 말고/뒷산에도 묻지 말고 민대 밑에 묻어 주소/연꽃이라 피거드면 날인 줄로 알아 주소 (이하 생략)"와 같이 처자가 유언을 남기고 자살함으로써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고자 한다. 작품에 따라 연꽃으로 환생하는 결말이 나타나기도 한다.

의의 및 평가

「쌍가락지 노래」는 영호남 지역 모두에서 채록되었으나 주로 안동 · 영덕 · 함양 등의 영남 지방에서 많이 전승되었다. 앞 부분의 일부 대목만 따로 떼어 동요처럼 불리기도 한다. 처녀가 자는 방의 문풍지 떠는 소리를 남자의 숨소리로 착각하고 여동생의 순결을 의심한 오빠에게 여동생이 이를 해명하고 유언을 남기면서 죽어간다는 내용이다. 처녀의 순결과 주3를 생명보다 가치있게 여겼던 조선조의 주4 의식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죽음과 연꽃 환생의 결말을 통해, 대부분의 평민 여성들이 이런 현실을 매우 고통스러우면서도 부당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비판 의식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韓國의 民俗音樂 : 慶尙南道民謠篇』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고정옥, 『朝鮮民謠硏究』(수선사, 1949)
서영숙, 『한국 서사민요의 날실과 씨실 : 우리 어머니들의 노래』,(도서출판 역락, 2009)
서영숙, 『한국 서사민요의 짜임과 스밈』(도서출판 역락, 2018)
임동권, 『韓國民謠集』Ⅰ∼Ⅴ(집문당,1961∼1980)

논문

서영숙, 「<쌍가락지 노래>의 서사구조와 전승양상」(『어문연구』 65, 어문연구학회, 2010)
이미영, 「<쌍가락지 노래>의 욕망, 그리고 저항의 목소리」,(『한국민요학』 40, 한국민요학회, 2014)
주석
주1

늘어놓는 말이나 이야기.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부녀자가 짓거나 읊은 가사 작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영남 지방에서 널리 유행하였으며, 주로 시집에서 지켜야 할 몸가짐과 예절 따위를 내용으로 한 것으로 <계녀가>, <춘유가> 따위가 있다. 작자와 연대를 알 수 없다. 우리말샘

주3

여자의 곧은 절개. 우리말샘

주4

여자의 곧은 절개.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