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랑의 정조 (아랑의 )

목차
현대문학
작품
박종화(朴鍾和)가 지은 단편소설.
목차
정의
박종화(朴鍾和)가 지은 단편소설.
내용

박종화(朴鍾和)가 지은 단편소설. 1937년에 『문장(文章)』지에 발표되었다. 일종의 단편 역사물로, 『삼국사기』의 열전(列傳)에 기록된 「도미전(都彌傳)」에서 취재하였다.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백제의 미인 아랑이 예쁘다는 소문이 방방곡곡에 자자하게 퍼졌다.

아랑의 남편 도미는 솜씨 있는 목수로 그의 이름이 백제 서울에 널리 알려져 유명하였지만 그보다는 예쁜 아내 아랑을 가진 청년 도미로 이름이 더 높았다. 도미는 오히려 괴롭고 또 무서움을 느꼈다. 목수 도미의 아내 아랑이 예쁘다는 소문은 이 나라 왕 개루의 귀에까지 들어갔다.

개루는 여색을 좋아하는지라 신하는 백제의 미인이야기를 하다가 목수 도미의 아내에게로 옮아갔다. 드디어 개루에게 아랑은 끌려갔지만, 끝까지 정조를 지킨 아랑을 미화시킨 내용이다. 극한적인 상황 속에서 정조만을 고수하고 끝내는 도미를 찾아 탈출하는 아랑의 아름다운 부덕은 대단한 것이 아닐 수 없다.

미인 아내를 둔 탓으로 눈알을 뽑히면서도 자기의 아내만은 결코 변심하지 않으리라고 확신하는 목수 도미, 장님이 된 남편을 극적으로 만나 부축하여 걸식으로 목숨을 이어가는 아내 아랑의 사랑은 이 나라 여성의 갸륵한 정조의식의 상징으로 승화되었다.

끝 장면에서 아랑은 눈먼 남편 도미의 손을 이끌고 원수의 백제땅을 버린 뒤에 거지가 되어 고구려땅으로 들어간다는 비화로 엮고 있다.

작가는 일제 강점기 말까지 우리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 소설을 지속적으로 창작했다. 따라서 이 작품 역시 단순한 여성의 정조를 표현하고자 선택한 이야기가 아니라 고난 속에서도 사랑하는 대상을 저버리지 않는 인물을 통해 흥미와 동시에 역사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했던 당시의 시대적 맥락과 결부되어 해석될 여지를 가지고 있다.

집필자
윤병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