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록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악록문집
악록문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허성의 시 · 묘갈명 · 사제문 · 만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허성의 시 · 묘갈명 · 사제문 · 만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경위는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116수, 서(序) 3편, 소(疏) 1편, 제문 1편, 묘갈명 5편, 행장 1편, 사제문 1편, 부록으로 묘갈명 1편, 제문 3편, 만사 4수, 제현송시(諸賢送詩) 38수, 어찰송(御札頌)·서(書)·유사·주역교정청선온도좌목(周易校正廳宣醞圖座目)·교정청일사궁온오병사전(校正廳日賜宮塭五甁謝箋)·선온도기(宣塭圖記)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서경(敍景)이 주를 이루고, 차운(次韻)·증별(贈別)·만시(挽詩) 등도 많다. 만시에는 이황(李滉)·조식(曺植)·유성룡(柳成龍) 등에 대한 것이 있다.

서(序)의 「기전도설후어(箕田圖說後語)」는 한백겸(韓百謙)의 『구암집(久庵集)』에서 발췌하여 수록한 것인데, 평양 남쪽에 기자정전(箕子井田)의 원형으로 보이는 땅을 발견하고 이를 측량하여 기록해 놓은 「기전도설」에 대하여 설명을 붙인 글이다.

소의 「시폐소(時弊疏)」는 광해군 때 국방문제에 관한 대책을 밝힌 것으로 상당히 장문이다. 제문 1편은 이황에 대한 것으로 그의 높은 학덕을 추모하는 내용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