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8.65m. 전탑은 조탑리 마을의 남쪽 들판에 있는데, 주변에서는 절터로 추정할 만한 유물이 확인되지 않았다. 특이하게 1층 몸돌 전체를 화강암으로 조성하였다. 우리나라의 전탑은 대체로 화강암을 섞어 만들었지만, 이 전탑은 그러한 양식이 더욱 적극적으로 표현되어 주목된다.
전탑은 한 변이 약 7m 정도인 흙으로 쌓은 낮은 받침 위에 있다. 받침 가운데에는 몸돌을 받치는 장치로, 한 변이 약 2.65m이고, 높이가 약 49㎝인 5단의 화강암 굄돌이 있다.
몸돌은 2층 이상의 높이가 1층에 비해서 급격히 줄어들었지만, 2층 이상의 체감률은 미미하여 안정감이 있어 보인다. 1층 몸돌은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화강암을 5단이나 6단으로 쌓아 조성하였으며, 윗부분의 너비가 아래부분보다 약간 줄어 들었다. 남쪽면에는 높이 66.5㎝, 너비 50㎝ 크기의 감실(龕室)이 설치되었는데, 좌우에 반원형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반원형 이맛돌을 얹은 모습이다. 특히 감실의 좌우에는 인왕상(仁王像)을 돋을새김한 화강암 널돌을 끼워 넣었고, 감실 안의 가운데에는 너비 23∼24.5㎝ 정도되는 네모난 단면의 나무 기둥이 있는데, 전탑의 찰주(擦柱)로 보인다. 2층 이상의 몸돌은 모두 벽돌로 쌓아 올렸다. 2층과 4층 몸돌의 남쪽면에도 매우 형식적인 모습의 감실이 있는데, 그 양식은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보물, 1963년 지정)과 비슷하다. 5층 몸돌은 4층 몸돌에 비해 높은 데다가 사용된 벽돌도 달라서, 후대에 수리하면서 변형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붕돌은 길이 27㎝, 두께 5.5㎝ 크기의 네모난 벽돌을 사용하여 축조하였다. 1층 지붕에 쌓은 벽돌 중에는 테두리에 구슬무늬[連珠文]를 두르고, 그 안에 당초(唐草)무늬를 돋을새김한 것도 포함되어 있다. 이 벽돌은 건립 당시의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밖에도 제조 시기를 달리하는 여러 벽돌이 뒤섞여 사용되었으므로, 석탑을 여러 차례 보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각 층의 지붕돌은 벽돌 1장의 두께로 처마를 삼았고, 1층 지붕돌의 아랫부분에는 벽돌 2장을 쌓아 굄을 두었다. 밑면의 받침수는 1층부터 9단 ·8단 ·7단 ·6단 ·3단이고, 윗면인 낙수면의 층단수는 1층부터 7단 ·5단 ·4단 ·3단이다. 안동에 위치한 다른 전탑과 달리, 낙수면에 기와가 얹혀 있지 않은데, 원래는 기와를 올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안동에 있는 전탑 2기는 모두 조선시대에 보수되었으므로, 이 전탑 역시 그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1917년에 수리한 뒤에도 여러 차례 부분적인 보수가 진행되었기에, 건립 당시 원래의 모습은 많이 변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