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분당고시 ()

목차
관련 정보
안분당고시
안분당고시
유교
문헌
조선전기 문신 이희보의 시 「전옹가」 · 「동우탄」 · 「추야소우」 등을 수록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문신 이희보의 시 「전옹가」 · 「동우탄」 · 「추야소우」 등을 수록한 시집.
내용

2권 1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없어 편집·필사경위를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고시 38수와 율시 73수가 수록되어 있다.

고시 중 「전옹가(田翁歌)」는 흉년에 어느 늙은 농부의 굶주리는 생활상을 그린 것으로, 깊은 연민의 뜻이 담겨져 있다. 「동우탄(冬雨嘆)」도 어느 산골의 노인이 가난한 생활을 꾸려가는 모습을 그려낸 가행체의 시이다. 「효발수원노중구점(曉發水原路中口占)」·「유선원동(遊仙院洞)」·「효행(曉行)」 등의 기행시에는 여행노정의 감흥이 잘 나타나 있다.

율시에는 서경시가 많은데, 「등향교루(登鄕校樓)」·「등한강루(登漢江樓)」 등은 주위의 경관을 서정적 감회로 운치 있게 묘사한 작품이다. 「초추야좌(初秋夜坐)」·「추야소우(秋夜小雨)」·「추야영회(秋夜咏懷)」 등 가을밤의 서정을 노래한 시가 많은 것도 특징이다.

이밖에 차운이나 화답류가 많이 있다. 「궁사(宮詞)」·「상서희(喪西姬)」·「상춘사(傷春詞)」 등은 당대(唐代) 시풍을 연상시키는 것으로 서정성이 두드러진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