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금주책 ()

목차
관련 정보
양금주책
양금주책
국악
문헌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장영산」 · 「가락제지」 · 「상현도두리」 등을 수록한 악보. 양금악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장영산」 · 「가락제지」 · 「상현도두리」 등을 수록한 악보. 양금악보.
내용

1책. 필사본. 크기는 가로 14㎝, 세로 22㎝. 이 악보의 지질은 한지(漢紙)이며, 겉 표지에 ‘洋琴註冊(양금주책)’이라고 쓰여 있고, 그 표지 안쪽에 양금도해(洋琴圖解)와 함께 육보 구음법(口音法)이 보인다.

첫면에는 곡목의 목차가 있고 제2면부터는 악곡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곡과 장별 수효를 보면 다음과 같다. 장영산(長靈山) 5장, 중영산(中靈山) 5장, 세영산(細靈山) 5장, 가락제지(加樂除旨) 3편, 삼현도두리(三絃道頭理) 반편(半篇), 상현도두리(上絃道頭理), 삼현도두리(三絃道頭理) 3편, 하현도두리(下絃道頭理), 하현도두리 제3편중입, 염불(念佛), 삼현도두리 3편, 타령(打令), 군악(軍樂), 권마성(權馬聲), 취타(吹打) 6장, 세별곡(細別曲) 6장, 권주가(勸酒歌). 그리고 맨 뒷장(겉표지) 안쪽 면에 ‘삼현금(三絃琴)’이라 쓰고 도해가 보일 뿐이다.

앞서 수록된 장수와 곡명에서 보면, 삼현도두리 반편 다음에 상현도두리가 보이고, 그 다음에 다시 상현도두리가 1장부터 연주된다. 염불 다음에 또 삼현도두리 초편(初篇) 중입(重入) 등의 부분이 실려 있는데, 이 곡들은 오늘날 악곡과의 비교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생각된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韓國音樂學資料叢書』제15집(국립국악원, 1984)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