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상기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때, 진위대 병사 출신으로 군대 해산 이후 광주를 근거지로 항일의병투쟁을 전개한 의병장.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3년 10월 10일
사망 연도
1910년(순종 3)
출생지
전라남도 광산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한제국기 때, 진위대 병사 출신으로 군대 해산 이후 광주를 근거지로 항일의병투쟁을 전개한 의병장.
개설

전라남도 광산(지금의 광주광역시) 출신. 의병장 양진여(梁振汝)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진위대(鎭衛隊) 병사출신으로, 1907년 군대해산 후 잠시 광주경찰서 순사로 있었다. 그러나 아버지가 의병장이었고, 또한 의병들과 기맥을 통하고 있던 터라 일제에 의하여 파면되는 즉시 의병항쟁에 나섰다.

1908년 5월에 광주를 근거로 거의하여, 약 80명으로 된 의병진을 편성하고 의병장이 되었다. 1909년 5월까지 전라남도의 광주 · 동복 · 담양 · 장성 · 창평 등지에서 친일역도를 처단하고 일본기관을 파괴하며 일본군과 싸웠다.

1908년 11월에는 광주에서, 그해 12월에는 동복에서, 1909년 3월에는 광주와 동복군 외북면 서유마을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그리고 그해 5월에는 담양군 무정면 덕곡리에서 일본수비군 및 경찰과 격전하였다. 그뒤 남원에서 잡혀 교수형을 받고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으로 서훈되었다.

참고문헌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s://e-gonghun.mpva.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