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어
국악
물품
타악기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타악기의 하나.
내용

1116년(예종 11)에 송으로부터 수입하여 궁중제례악(宮中祭禮樂)과 전정 헌가(軒架)에서 축(祝)과 함께 쓰여졌다. 어는 길이 1m 가량의 엎드린 호랑이 모양을 조각하여 방대(方臺) 위에 얹어 놓은 것으로, 등줄기에 톱날모양으로 새긴 27개의 서어(齟齬)가 있고, 그것들을 호랑이의 목에서 꼬리 쪽으로 새겨 박았다.

이것을 아홉 쪽으로 갈라 나무자루에 박아 만든 대나무 어채인 진(籈)의 뒷목 부분을 세 번 탁탁 치고 꼬리 쪽으로 드르륵 긁어서 소리를 낸다. 어는 음악을 그치게 하는 신호악기로 놓는 방향도 서쪽이다.

그 치는 법은 세종 때 박연(朴堧)의 건의에 좇아 송나라의 제도인 격수삼알(擊首三戛)의 법을 따른 것이다. 어의 호랑이와 대는 가목(椵木)을 쓰며 등 위의 톱니 같은 것을 새긴 것은 따로 다른 단단한 나무를 써서 등에 박는다. 연주는 박연이 고제(古制)를 참고하여 만든 기법이 현재는 문묘제례악에서만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국역 악학궤범』(민족문화추진회, 198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