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 중의 하나. ‘언락시조(言樂時調)’라고도 하고, ‘지르는 낙시조(樂時調)’라고도 한다. 언락의 언(言)은 엇(旕)·얼(乻)의 변화된 음이며, 우락(羽樂)의 파생곡으로 우락과는 대(對)가 된다.
우락은 처음을 낮은 음으로 시작하는 데 반하여, 언락은 ‘지르는 낙시조’라는 딴 이름에서 보듯이 처음을 높은 음으로 질러내는 점이 특징이다. 여창 가곡에는 없고 남창으로만 불리고 있다.
음계는 평조(平調)에 속하는 황(黃)·태(太)·중(仲)·임(林)·남(南)의 5음으로 된 우조(羽調)이고, 종지음은 탁태주[㑀]이다. 5장과 중여음(中餘音)·대여음(大餘音)의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제3장의 노래말이 확대되어 있다. 장단은 10점(點) 16박(拍)인 가곡의 기본 장단을 사용하고 있다.
노래말로는 시조시(時調詩)를 사용하고, 하규일(河奎一) 전창(傳唱)으로<벽사창(碧紗窓)이>·<백구(白鷗)는>·<일월성진(日月星辰)도>·<아흔아홉>·<푸른 산중(山中)>·<신라성대 新羅聖代>의 6곡이 전하고 있다. 노래말에 따라 가락이 다르고 가장 널리 불리고 있는 노래말은 다음과 같다.
(초장) 벽사창이 어룬어룬커늘,
(2장) 임만 여겨 펄떡 뛰어나가보니,
(3장) 임은 아니 오고 명월(明月)이 만정(滿庭)한데 벽오동(碧梧桐) 젖은 잎에 봉황이 와서 긴 목을 휘여다가 깃 다듬는 그림자로다,
(4장) 맞초아,
(5장) 밤일세만정 행여 낮이런들 남우일뻔 하여라.
대개 1분에 60정간(井間)의 한 배로 부르며, 우락 다음 편락(編樂) 앞에서 불린다. 단(單)재비로 된 거문고·젓대·세피리·가야금·해금·장구 등의 관현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독창곡으로 대여음을 전주로 사용하고 있다.
≪청구영언≫에는 곡태(曲態)를 “꽃이 아침이슬을 머금은 듯 변화가 무궁하다(花含朝露 變態無窮).”고 하였다. 비교적 담담하면서도 흐르는 물같이 치렁치렁한 멋이 있는 곡이다.
수록되어 있는 옛 악보로는 ≪삼죽금보 三竹琴譜≫·≪서금가곡 西琴歌曲≫ 등이 있고, ≪청구영언≫·≪가곡원류≫ 등에 노래말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