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락 ()

목차
관련 정보
언락 / 편락
언락 / 편락
국악
작품
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 중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 중의 하나.
내용

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 중의 하나. ‘언락시조(言樂時調)’라고도 하고, ‘지르는 낙시조(樂時調)’라고도 한다. 언락의 언(言)은 엇(旕)·얼(乻)의 변화된 음이며, 우락(羽樂)의 파생곡으로 우락과는 대(對)가 된다.

우락은 처음을 낮은 음으로 시작하는 데 반하여, 언락은 ‘지르는 낙시조’라는 딴 이름에서 보듯이 처음을 높은 음으로 질러내는 점이 특징이다. 여창 가곡에는 없고 남창으로만 불리고 있다.

음계는 평조(平調)에 속하는 황(黃)·태(太)·중(仲)·임(林)·남(南)의 5음으로 된 우조(羽調)이고, 종지음은 탁태주[㑀]이다. 5장과 중여음(中餘音)·대여음(大餘音)의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제3장의 노래말이 확대되어 있다. 장단은 10점(點) 16박(拍)인 가곡의 기본 장단을 사용하고 있다.

노래말로는 시조시(時調詩)를 사용하고, 하규일(河奎一) 전창(傳唱)으로<벽사창(碧紗窓)이>·<백구(白鷗)는>·<일월성진(日月星辰)도>·<아흔아홉>·<푸른 산중(山中)>·<신라성대 新羅聖代>의 6곡이 전하고 있다. 노래말에 따라 가락이 다르고 가장 널리 불리고 있는 노래말은 다음과 같다.

(초장) 벽사창이 어룬어룬커늘,

(2장) 임만 여겨 펄떡 뛰어나가보니,

(3장) 임은 아니 오고 명월(明月)이 만정(滿庭)한데 벽오동(碧梧桐) 젖은 잎에 봉황이 와서 긴 목을 휘여다가 깃 다듬는 그림자로다,

(4장) 맞초아,

(5장) 밤일세만정 행여 낮이런들 남우일뻔 하여라.

대개 1분에 60정간(井間)의 한 배로 부르며, 우락 다음 편락(編樂) 앞에서 불린다. 단(單)재비로 된 거문고·젓대·세피리·가야금·해금·장구 등의 관현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독창곡으로 대여음을 전주로 사용하고 있다.

≪청구영언≫에는 곡태(曲態)를 “꽃이 아침이슬을 머금은 듯 변화가 무궁하다(花含朝露 變態無窮).”고 하였다. 비교적 담담하면서도 흐르는 물같이 치렁치렁한 멋이 있는 곡이다.

수록되어 있는 옛 악보로는 ≪삼죽금보 三竹琴譜≫·≪서금가곡 西琴歌曲≫ 등이 있고, ≪청구영언≫·≪가곡원류≫ 등에 노래말이 전한다.

참고문헌

『청구영언(靑丘永言)』
『국악론고』(장사훈, 서울대학校 出版部, 1966)
『국악대사전』(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