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롱 ()

목차
관련 정보
언롱
언롱
국악
작품
전통 성악곡인 가곡 중의 하나.
이칭
이칭
만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통 성악곡인 가곡 중의 하나.
내용

전통 성악곡인 가곡 중의 하나. 다른 이름으로 <만횡 蔓橫>이라 하고 <반지기 半只其>·<반자기>·<반죽이> 등으로도 불려진다. 언(言)은 엇(旕)·얼(乻)의 변화된 음이다.

엇·얼의 음악적 형태는, 첫째 반지기·반자기가 가지는 뜻과 같이 순수한 것에 이질적인 것이 섞인 상태인 두 가지의 창법이 사용되고 있고, 둘째는 ‘지르는 낙시조’·‘지르는 편(編) 잦은 한잎’에서와 같이 처음을 높은 소리로 질러내는 두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가곡원류≫에 보이듯이 머리는 삼삭대엽(三數大葉)과 같고 그 다음은 농(弄)이 되는 창법으로 처음을 높이 질러내되 삼삭대엽과 같이 무겁고 근엄하게 부르고, 2장 이하는 흥청거리는 두 가지의 창법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원형은 농이고, 언롱은 농에서 변화된 곡이며, 높지도 낮지도 않은 평출(平出)의 뜻을 지닌 평롱(平弄)은 여기서 파생된 곡인 언롱과 대(對)가 된다. 여창 가곡에는 없고 남창에만 있다.

음계는 황(黃)·중(仲)·임(林)의 3음으로 된 계면조이고, 종지음은 탁 중려[仲]이다. 형식은 5장과 중여음(中餘音)·대여음(大餘音)으로 되어 있으나, 제3장과 제5장의 노래말이 확대되어 불리기도 한다. 장단은 1장단이 10점(點) 16박(拍)으로 가곡의 기본 장단을 사용하고 있다.

노래말로는 시조시를 사용하고, 하규일(河圭一) 전창(傳唱)으로 <이태백의>·<십재를>·<기러기>·<팔만대장>·<어촌에>의 5곡이 전한다. 노래말에 따라 가락이 약간 다르고 가장 널리 불리는 곡의 노래말은 다음과 같다.

(초장) 이태백의 주량은 그 어떠하며,

(2장) 일일수경삼백배(一日須傾三百盃)하고,

(3장) 두목지풍채(杜牧之風采)는 그 어떠하여 취과양주귤만거(醉過楊州橘滿車)런고,

(4장) 아마도,

(5장) 이 둘의 풍도(風度)는 못 밋츨가 하노라.

연주형태는 단(單)재비로 된 거문고·젓대·세피리·가야금·해금·장구 등의 관현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독창곡이다. 대여음을 전주로 사용하고 한 배는 대개 1분 50정간(井間)이고, 소용(騷聳) 다음 평롱 앞에서 부른다.

곡태(曲態)는 ≪가곡원류≫에 “여러 선비들이 말다툼하듯 변화무궁하다.”고 하였다. 흥청거리고 여유 있게 흔드는 멋이 있는 곡이다.

수록되어 있는 옛 악보로는 ≪현금오음통론 玄琴五音統論≫·≪방산한씨금보 芳山韓氏琴譜≫ 등이 있고, ≪청구영언≫·≪가곡원류≫ 등에 노래말이 전한다.

참고문헌

『가곡원류(歌曲源流)』
『남창가곡집(男唱歌曲集)』(하규일전창(傳唱)
『시조음악론(時調音樂論)』(장사훈, 한국국악학회, 197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