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전 ()

목차
산업
제도
조수(潮水)가 드나드는 갯벌(간석지, 干潟地)을 막아 만든 경지.
목차
정의
조수(潮水)가 드나드는 갯벌(간석지, 干潟地)을 막아 만든 경지.
내용

간척지의 일종이다. 간척지는 바다나 호수를 막아 육지나 논밭으로 전환한 것이다. 조수를 막기 위하여 둑을 쌓는 데는 돌을 써야 하는데, 지난날에는 갯벌 진흙 위로 돌나르기가 매우 어려워 널빤지를 놓고 운반하였다고 한다.

이것은 숙종 때까지도 강화도 등지에서 썼던 방법인데, 정약용(丁若鏞)은 큰 돌을 끌거나 올리는 데 기중기를 써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언전이 경작지가 되려면 흙속의 염분이 충분히 씻겨 내려가야 한다. 『임원경제지』에 보면 염분이 포함된 땅에 둑을 쌓아 빗물을 받아두었다가 짠기운을 우려낸 뒤 씻어버리고, 두둑을 하여 볍씨를 뿌리는데, 이러한 경지를 속칭 언전이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제염작업은 상당한 기간을 필요로 하므로 『경국대전』에서도 첫해에는 면세이고, 이듬해에는 반세(半稅)라고 하였다. 정약용은 간석지(干潟地)의 이익을 흥하게 하기 위하여 5, 6년의 면세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간척사업은 고려시대 몽고침입 이후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강화도 등 서해안지대에서 활발히 실시된바, 해당지역주민들에게는 많은 폐해를 주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경국대전(經國大典)』
『임원경제지(수리지 언전조)』
『이조수리사』(이광린, 한국연구원, 1961)
집필자
이춘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