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 중의 하나. 다른 이름으로 ‘지르는 편(編) 잦은 한잎’이라고 하고 ‘얼편(乻編)’으로 쓰기도 한다. ≪청구영언≫·≪해동가요≫·≪객악보 客樂譜≫·≪병와가곡집≫ 등에는 보이지 않고, 중거(中擧)·평거(平擧)·두거(頭擧)와 함께 ≪가곡원류≫에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생긴 것으로 여겨진다.
선율형은 <삼수대엽 三數大葉>보다 <언롱>에 더 가까운데, <편삭대엽 編數大葉>의 초장을 높이 질러낸 곡으로 비교적 한배가 느리고 복잡한 <언롱>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변주한 것이다.
① <언롱>의 10점 16박 한 장단을 장구 점수에 따라 10점 10박 한 장단으로 줄이고, ② 한배를 빠르게 하고, ③ 선율형을 축소하고, ④ 숨자리를 바꾸고, ⑤ <언롱>의 여유 있게 흔들어 풀어내리는 창법을 퇴성(退聲)으로 바꾸고 있다.
<언롱>의 대에는 <평롱 平弄>이 있고, <언락>의 대에는 <우락 羽樂>이 있듯이 <언편>은 <편삭대엽>의 대가 된다. 여창 가곡에는 없고 남창에만 있다.
음계는 황(黃)·중(仲)·임(林)·무(無)의 4음 계면조이며 종지음은 탁중려[仲]이다. 형식은 5장과 중여음(中餘音)·대여음(大餘音)으로 되어 있으나, 제3·5장의 노래말이 확대되어 있다. 장단은 보통 가곡과는 달리 10점 10박의 변화된 10박 장단을 사용하고 있다.
노래말로는 시조시(時調詩)를 사용하는데, 하규일(河圭一) 전창으로 <한송정 寒松亭>·<저건너>의 2곡이 전한다. 노래말에 따라 가락이 다르다. 가장 널리 불리는 노래말은 다음과 같다.
(초장) 한송정 자진솔 비여
(2장) 조그만치 배 무어 타고
(3장) 술이라 안주·거문고·가얏고·해금·비파·저·피리·장고·무고 공인(工人)과 안암산(安巖山) 차돌 일본 부쇠 노구산(老狗山) 수로(垂露)취며 나전(螺鈿)대 궤(櫃) 지삼이(指三伊) 강릉 여기(女妓) 삼척주(三陟酒) 탕(蕩)년 다모아 싣고 달 밝은 밤에 경포대로 가서
(4장) 대취(大醉)코
(5장) 고예승류(叩枻乘流)하여 총석정(叢石亭) 금란굴(金蘭窟)과 영랑호(永郎湖)선유담(仙遊潭)으로 임 거래(去來)를 하리라.
연주형태는 단(單)재비로 된 거문고·젓대·세피리·가야금·해금·장구 등의 관현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독창곡이다.
대여음을 전주로 사용하고 한 배는 대개 1분 70정간(井間)이고, <편삭대엽> 뒤 <태평가> 앞에서 부른다. 곡태(曲態)는 ‘많은 군사들이 달리고 북과 각소리가 일제히 울리는[大軍驅來鼓角齊嗚]’ <편삭대엽>의 곡태와 같다고 할 수 있고, 쾌활하고 호탕한 기분을 준다.
수록되어 있는 옛 악보로는 ≪현금오음통론 絃琴五音統論≫·≪방산한씨금보 芳山韓氏琴譜≫ 등이 있고, ≪가곡원류≫·≪협률대성 協律大成≫ 등에 노래말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