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군읍지 ()

목차
관련 정보
연천군읍지
연천군읍지
인문지리
문헌
경기도 연천군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읍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연천군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읍지.
내용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이밖에도 1899년에 연천군에서 편찬된 『연천군읍지』가 규장각 도서에 있고, 1871년(고종 8)에 편찬되어 일제강점기에 편사된 『연천현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방리(坊里)·결총(結摠)·호구(戶口)·환총(還摠)·역도(驛賭)·지계(地界)·풍속(風俗)·고적(古蹟)·토산(土産)·인물(人物)·충효열(忠孝烈)·사찰(寺刹)·성첩(城堞)·산천명승(山川名勝)·선생안(先生案) 등으로 되어 있다.

특기할 사항은 선생안조에 153명의 읍쉬명단(邑倅名單)이 열거되었으며, 권말에는 군수 송경인(宋敬仁)의 지기(識記)가 있다. 인물·충효열조 등의 인물 관계 기사가 상세하여 유교이념을 선양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참고문헌

『경기지(京畿誌)』
『연천현읍지(漣川縣邑誌)』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