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용산동 고분군 ( )

목차
고대사
유적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내용

안정 남부초등학교에서 사계마을을 지나면 과수원으로 개간된 야산 일대에 수십 기의 무덤이 집중 분포되어 있다. 이 고분군은 본격적으로 발굴조사가 진행되지 않아 규모와 성격은 알 수 없다. 다만 1981년영남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조사를 한 결과, 대부분 도굴·파괴된 상태였다.

무덤은 대부분 길이 5m 내외, 너비 0.7m 정도의 규모이다. 구조는 돌방〔石室〕의 네 벽을 깬돌〔割石〕로 쌓아올리고 그 위에 판자 모양의 뚜껑돌 3∼5개를 덮어 천장을 마련한 모습으로, 길고 가는 돌방무덤인 듯하다. 이 지역에 신라시대의 사찰이 있었다고 전하고, 주변에 신라시대와 관련된 유적이 있었을 것이므로, 이 고분군은 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1960년대에 이곳을 개간할 때 출토된 유물 중에는 2단의 투창(透窓)이 있는 굽다리접시〔高杯〕가 있었는데, 이것은 삼국시대 전형적인 굽다리접시로 알려져 있다.

한편, 용산리증봉산의 줄기인 작은 봉우리 정상부에도 높이 3m 쯤되는 비교적 큰 무덤이 있다. 이것은 마을에서 말무덤으로 불리는데, 주변에 신라 토기 조각으로 보이는 회청색 경질토기편이 흩어져 있어, 역시 신라시대 돌방무덤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경상북도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Ⅱ-안동/동해문화권-』(경상북도, 1981)
『문화유적총람-중-』(문화재관리국, 197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