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독떼기

목차
국악
작품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일대에 전승되고 있는 김매기소리의 하나.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일대에 전승되고 있는 김매기소리의 하나.
내용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일대에 전승되고 있는 김매기소리의 하나. 강릉지방에서는 마을마다 두레패를 이루어 한 조에 두명 이상씩 여러 조를 만들어 번갈아가며 이 <오독떼기>를 불러가면서 즐겁게 김을 맨다.

아이김 · 두벌김 · 세벌김을 매면서 이 <오독떼기>를 부르는데, 부르는 속도나 가사에 따라서 <냇골오독떼기> · <수남오독떼기> · <하평오독떼기>로 달리 부르고 있다.

이 <오독떼기>는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에서 가장 뚜렷이 전승되고 있는데, 이 곳에서는 냇골조 <오독떼기>를 부른다. 세조실록에 세조가 동해안일대를 돌아보다가 이 <오독떼기>를 잘하는 사람을 뽑아 소리를 시켜보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 <오독떼기> 소리의 음조직은 미 · 솔 · 라 · 도 · 레의 5음음계로 되어 있고, ‘미’로 시작하여 ‘미’로 끝난다. 장단은 일정하지 않은 자유스러운 장단으로 되어 있다.

○ 머리좋고 실한처녀 줄줄뽕 ○에 걸어앉네

(후렴) 어어리 어으디야 아이고나 이리야

아아리골 다디여라 사라앙이요오

지야자 지여올줄 무엇 못 오든가

○ 모시적삼 젖혀들고 연적 같은 젖을 주오

(후렴)

연줄가네 연줄가네 해해 달속에 연줄가네

(후렴)

꺾음오독떼기

○ 간데쪽쪽 정들여놓고 이별 짖어 모 살것네

○ 강릉에라 남대천에 빨래 방치 둥실뗏네

이 <오독떼기>의 후렴구는 마치 범패와 같이 장인굴곡(長引屈曲)되는 소리로 부르고, 특히 <꺾음오독떼기>가 더욱 그렇다. 이 <오독떼기>와 잡가 · 사리당 등의 소리를 섞어서 부르며 흥을 돋우는데, 김맬 때만이 아니라 놀 때에도 이 소리들을 부른다.

참고문헌

『뿌리깊은나무 팔도소리전집』 1(뿌리깊은나무사, 198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