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음잡설 ()

목차
관련 정보
오음유고
오음유고
한문학
문헌
조선시대 문신 윤두수가 직접 보고 들은 명신 · 명사 및 사우(師友)들의 일화를 모아 엮은 잡록.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 윤두수가 직접 보고 들은 명신 · 명사 및 사우(師友)들의 일화를 모아 엮은 잡록.
개설

작자가 직접 보고 들은 명신·명사 및 사우(師友)들의 일화(逸話)를 자유롭게 기술한 것이다. 이 작품은 윤두수의 장남 방(昉)이 1635년(인조 13)에 간행한 『오음유고』(3권 3책) 권3에 실려 있다.

따로 1책의 필사본으로도 전하며, 『대동야승』 권57에도 이 글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및 평가

전체가 모두 여덟가지 항목에 1,019자로 된 짤막한 일화집이다. 여기 거론된 인물은 이준경(李浚慶)·이황(李滉)·기대승(奇大升)·조식(曺植)·노수신(盧守愼)·박순(朴淳) 등 모두 21명이다.

이들 가운데 이준경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보인바, 여덟 항목 중 세 항목이 그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이황이 시골에서 서울로 와서 며칠 뒤에 영의정이던 이준경을 찾아갔을 때의 일화는 당시 선비들이 이황을 존경하던 모습과 동시에 선비들의 그와 같은 움직임을 조심스럽게 주시하던 이준경의 자세를 잘 대비시켜 묘사하고 있다.

곧, 사류(士類)의 분열에 대한 저자 자신의 우려의 뜻을 담고 있는바, 이 점이 이 작품에서 나타나는 주요 주제이다. 이밖에 인재등용을 신중히 할 것과 명망이 있는 인물이라도 그의 참모습을 알아야 할 것 등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참고문헌

『오음유고(梧陰遺稿)』
『한국당쟁사(韓國黨爭史)』(성낙훈, 『한국문화사대계』 Ⅱ,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67)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