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물명고≫·≪물보≫·≪전어지≫·≪규합총서≫ 등의 옛 문헌에 따르면 우리말로 오중어·오증어·오젹어·오적이·오직어 등으로 불렸으며, 한자어로는 오적어(烏賊魚)가 표준어였고, 오즉(烏鰂)·남어(纜魚)·묵어(墨魚)·흑어(黑魚)라고도 하였다.
≪자산어보≫에는 “남월지(南越志)에서 이르기를 그 성질이 까마귀를 즐겨 먹어서, 매일 물 위에 떠 있다가 날아가던 까마귀가 이것을 보고 죽은 줄 알고 쪼면 곧 그 까마귀를 감아 잡아가지고 물 속에 들어가 먹으므로 오적(烏賊)이라 이름지었는데, 까마귀를 해치는 도적이라는 뜻이다라고 하였다.”라는 글이 있고, 오즉이라는 명칭의 유래도 상세하게 논하였다.
≪전어지≫에도 위와 같은 내용의 오적어라는 명칭의 유래가 소개되어 있고, 흑어·남어의 유래도 소개하였다. 즉, “뱃속의 피와 쓸개가 새까맣기가 먹과 같으며 사람이나 큰 고기를 보면 먹을 갑자기 사방 여러 자까지 내뿜어서 스스로 몸을 흐리게 하므로 일명 흑어라고 한다. ……풍파를 만나면 수염(더듬다리를 말함)으로 닻줄처럼 닻돌을 내리기 때문에 남어라고도 한다.”라고 하였다.
오늘날에는 오징어를 흔히 갑오징어라고도 하고, 피둥어꼴뚜기를 오징어라고 하는 등 용어상의 혼동이 있다. 오징어과의 동물들은 몸이 몸통·머리·발로 구분되는데, 몸통은 타원형이고, 1쌍의 옆지느러미는 좁고 몸통의 전길이에 따라 붙어 있으며 보통 뒤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발은 5쌍 10개가 있으며, 이 중 4쌍은 짧고 1쌍은 길다란 더듬다리[觸腕]로 되어 있다.
발에 있는 빨판은 보통 4줄로 배열한다. 패각(貝殼)은 몸 속에 들어 있는데 석회질로 되어 있고 크고 넓으며 앞부분은 매우 두껍고 뒷부분은 안쪽이 옴폭하다. 우리 나라 해역에서는 참오징어·무늬오징어·쇠오징어 등 10여 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산어보≫에서는 오징어의 생김새를 비교적 상세하고 정확하게 기록하였다.
그 중에 “등에 긴 뼈가 있는데 타원형이다. 살은 매우 무르고 연하다. 알이 있다. 속에 주머니가 있어 먹물을 가득 채우고 있다. 오징어를 침범하는 것이 있으면 곧 그 먹물을 내뿜어서 침범한 것을 현혹하게 한다. 그 먹물을 취하여 글씨를 쓰면 색이 매우 윤기가 있다. 그러나 오래되면 벗겨져서 흔적이 없어진다. 바닷물에 넣으면 먹의 흔적이 다시 살아난다고 한다. 등은 검붉고 반문이 있다. 맛은 감미로워 회나 포 감으로 좋다. 그 뼈는 곧잘 상처를 아물게 하고 새 살이 나게 한다. 뼈는 또한 말의 상처와 당나귀의 등창을 다스리는데, 뼈가 아니면 이것들을 고치지 못한다.”는 글이 들어 있다.
≪지봉유설≫에도 “오징어의 먹물로 글씨를 쓰면 해를 지나서 먹이 없어지고 빈 종이가 된다. 사람을 간사하게 속이는 자는 이것을 써서 속인다.”고 하였다. ≪재물보≫와 ≪물명고≫에는 오징어의 뼈를 해표초(海鰾鮹), 오징어를 소금에 절여 말린 것을 명상(明鯗), 소금을 치지 않고 말린 것을 포상(脯鯗)이라 하였다.
≪전어지≫에는 오징어를 잡는 방법을 인용, 소개하였다. 즉, “어부들은 동(銅)으로 오징어 모양을 만들고 그 수염(다리)은 모두 갈고리로 하면 진짜 오징어가 이것을 보고 스스로 와서 갈고리에 걸린다. 오징어는 사람을 보면 먹을 사방 여러 자까지 토하여 그 몸을 흐리게 하는데, 사람은 도리어 이로써 오징어를 잡는다.”라고 하였다.
≪규합총서≫에는 나무를 심을 때 오징어뼈가 나무에 들어가면 죽고, 모란을 심을 때 오징어뼈가 들어가면 죽고, 오징어가 소만(小滿)을 지내면 살이 적어지고, 오징어뼈를 우물 가운데 담그면 잡벌레가 다 죽는다는 등의 이야기가 적혀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오징어뼈는 성이 미온(微溫)하고 맛이 짜고 독이 없으며 부인의 누혈(漏血), 귀가 먹어 들리지 않는 데, 눈의 열루(熱淚)를 다스리며, 또 혈붕(血崩)을 고치고, 충심통(虫心痛)을 없앤다. 뼈는 두께가 3, 4푼이 되고 작은 배와 비슷하며, 가볍고 약하고 희다. 물에 삶아서 쓰는데 삶아서 누렇게 되면 껍질을 벗겨버리고 보드랍게 갈아서 물이 날아가게 하고 햇볕에 말려서 쓴다. 살은 성이 평(平)하고 맛이 시며, 주로 익기(益氣)·강지(强志)하는 데 좋고, 월경(月經)을 통하게 하고, 오래 먹으면 정(精)을 더하게 하여 자식을 낳게 한다. 뱃속의 먹은 혈자심통(血刺心痛)에 쓰는데 초에 섞어 갈아서 쓴다.”고 하였다.
어획량은 일반해면에서 1992년에 13만 9792M/T, 1997년에 22만 4959M/T, 원양어업으로 1992년에 31만 6142M/T, 1997년 22만 7016M/T이 어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