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단춘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곽씨경전, 이어사전
내용 요약

「옥단춘전」은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이 작품은 평양 기생 옥단춘의 절의와 지인지감, 이혈룡과 김진희 두 인물의 그릇된 우정 문제를 다루면서, 이혈룡이 옥단춘의 도움을 통해 고난을 극복하고 부귀영화를 누린다는 행복한 결말을 맺는 동시에, 악인인 김진희가 천벌을 받아 죽는다는 고전소설의 일반적인 권선징악을 다루고 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본 사항

1책. 국문 주1 · 활자본(活字本). 「곽씨경전」, 「이어사전」이라고도 한다. 현재 10여 종의 필사본이 전해지고 있다. 활자본으로는 1916년에 박문서관(博文書館)과 청송당서점(靑松堂書店), 1926년에 대성서림(大成書林), 1961년에 세창서관(世昌書館)에서 발행한 것까지 15종이 있다.

필사본은 필사본만으로 유통된 것과, 활자본을 필사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활자본으로는 42면(청송당서점 간행), 38면(박문서관 간행), 36면(대성서림 간행)이 있으나, 내용은 동일하다.

장서각과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나손문고에 주48되어 있다. 그 외에 조동일(趙東一)이 소장한 이본이 있다.

내용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조선 숙종 때 두 재상(宰相) 김정과 이정은 각각 같은 나이의 김진희(金眞喜)와 이혈룡(李血龍)이라는 아들을 두었다. 김진희와 이혈룡은 주4하며 우의(友誼)가 두터워져 장차 서로 돕고 살기로 언약(言約)한다. 그 뒤 김진희는 과거에 급제하여 결국 주7가 되었으나, 이혈룡은 과거를 보지 못하고 노모(老母)와 처자(妻子)를 데리고 가난하고 쓸쓸하게 살아간다.

그러던 중 이혈룡은 평양감사가 된 친구 김진희를 찾아가지만, 김진희를 만나지 못하고 걸식(乞食)한다. 그러다 하루는 주12에서 평양감사가 잔치를 연다는 말을 듣고, 다시 김진희를 찾아간다. 그러나 김진희는 이혈룡을 박대(薄待)하면서 사공을 불러 그를 죽이라고까지 한다.

이때, 옥단춘이라는 기생이 이혈룡의 비범(非凡)함을 알아보고 사공을 매수(買收)하여, 이혈룡을 구하고 집으로 데려와 주16을 맺는다. 옥단춘은 이혈룡의 식솔(食率)들도 보살핀다. 이혈룡은 옥단춘의 도움으로 과거에 급제하고, 평안도 암행어사(暗行御史)가 되어 걸인(乞人) 행색(行色)으로 평양에 간다. 연광정에서 잔치하던 김진희는 이혈룡이 다시 온 것을 알고 이혈룡을 재차 잡아 죽이라고 하자, 이혈룡은 어사출도를 하여 김진희의 죄를 엄하게 다스린다. 그 뒤 이혈룡은 우의정(右議政)에 올라 옥단춘과 행복한 삶을 산다.

의의와 평가

이 소설은 평양 기생 옥단춘의 순정과 절의(節義)를 다루고 있으며, 옥단춘이 이혈룡의 비범함을 한눈에 알아보는 주22을 가진 여성으로 그려지고 있다. 고전소설의 여성 인물 중 지인지감을 지닌 대표적인 인물로는 「구운몽」의 계섬월과 「옥루몽」의 강남홍 등이 있는데, 「옥단춘전」의 옥단춘 또한 주49을 통해 선인(善人)의 입신양명(立身揚名)을 돕고, 절개를 지켜 부귀영화를 누리게 된다.

그리고 이 소설은 이혈룡과 김진희라는 친구 사이의 그릇된 우정 문제를 다루면서, 고난에 빠진 주인공의 처지가 마지막에는 행복한 것으로 전환되는 조선시대 소설의 일반적인 주제인 권선징악을 다루고 있다.

그런데 이 작품은 여러 가지 면에서 「춘향전」과 유사한 면을 보인다. 가령, 「춘향전」의 주인공 이름은 이몽룡(李夢龍), 성춘향(成春香)인데 이 작품의 주인공 이름이 이혈룡, 옥단춘으로 되어 있는 것이나, 「춘향전」에 나타난 인물들 간의 신분적 관계와 「옥단춘전」에 나오는 주인공들의 신분적 관계가 같은 점이 그러하다. 또한 어사출두, 주29 등 결말 부분의 줄거리도 같으며, 두 작품 모두 율문체이다. 이처럼 「옥단춘전」과 「춘향전」이 유사한 점이 많다는 점에서, 「옥단춘전」은 「춘향전」을 모방한 작품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한편, 숙종 때 김우항(金宇杭)이라는 사람이 과거 급제 하기 전에 불우(不遇)하게 살다 강계부사(江界府使)로 있던 이종(姨從)에게 도움을 청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이종이 오히려 그를 감금하려고 하였다. 그러자 김우항은 이로부터 도망쳐 나와, 기생 홍도의 도움으로 과거에 급제하고 평안감사가 되어 이종의 죄를 벌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옥단춘전」의 구성과 아주 유사하다. 그래서 혹자(或者)는 「옥단춘전」이 김우항 설화(說話)를 소설화한 것이라 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옥단춘전」이 김우항 설화를 소설화하였다거나, 「춘향전」을 모방한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힘들다. 다만, 조선 후기에 몰락(沒落)한 사대부(士大夫)에 대한 기생의 동정(同情)적인 사랑, 또는 몰락한 양반(兩班)들의 암행어사 등 입신(立身)을 통해 불우한 처지를 보상받고자 하는 욕구 등의 모티프는 조선 후기의 시대 상황으로 보아 상당히 보편적인 것이었으리라 추정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모티프들이 결합하여 「춘향전」이나 「옥단춘전」 등의 소설이 이루어진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전광역시 대덕구에는 「이현룡과 김진회」 설화가 구전(口傳)되고 있다. 그 줄거리는 「옥단춘전」과 동일하며, 구비 주41되는 과정에서 일부 누락(漏落)과 첨가(添加)가 이루어졌다.

주인공 옥단춘의 이름이 김재철(金在喆)이 채록(採錄)한 주45 대사(臺詞, 臺辭)나 경상북도 예천군과 대구광역시 군위군의 민요(民謠)에 등장하는 것으로 볼 때, 「옥단춘전」은 민간(民間)에 널리 유포(流布)되어 읽힌 작품으로 추정된다. 또한 현존(現存)하는 민요 「옥단춘요」는 소설 「옥단춘전」과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없었다가, 「옥단춘전」이 유포되면서 활자본 또는 활자본 계열의 필사본에 삽입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태준, 『조선소설사』(학예사, 1939)
박성의, 『한국고대소설사』(일신사, 1958)
김기동, 『이조시대소설론』(정연사, 1959)
김동욱·황패강, 『한국고소설입문』(개문사, 1959)
소재영, 『고소설통론』(이우출판사, 1983)

논문

김정애, 「〈옥단춘전〉에 나타난 옥단춘의 지감능력과 그 문학치료적 의미」(『문학자료연구』 24,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김종철, 「옥단춘전」(『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1990)
김진수, 「「옥단춘전」과 대덕구 구전설화 “이현룡”과 “김진희”의 서사구조 비교 연구」(『언어연구』 22, 한국현대언어학회, 2007)
주석
주1

손으로 써서 만든 책. 우리말샘

주2

베끼어 씀. 우리말샘

주3

임금을 돕고 모든 관원을 지휘하고 감독하는 일을 맡아보던 이품 이상의 벼슬. 또는 그 벼슬에 있던 벼슬아치. 본디 ‘재(宰)’는 요리를 하는 자, ‘상(相)’은 보행을 돕는 자로 둘 다 수행하는 자를 이르던 말이었으나, 중국 진(秦)나라 이후에 최고 행정관을 뜻하게 되었다. 우리말샘

주4

한 스승 밑에서 함께 학문을 배우거나 수업을 받음. 우리말샘

주5

친구 사이의 정의(情誼). 우리말샘

주6

말로 약속함. 또는 그런 약속. 우리말샘

주7

조선 시대에 둔, 각 도의 으뜸 벼슬. 그 지방의 경찰권ㆍ사법권ㆍ징세권 따위의 행정상 절대적인 권한을 가진 종이품 벼슬이다. 우리말샘

주9

늙은 어머니. 우리말샘

주10

아내와 자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1

음식 따위를 빌어먹음. 또는 먹을 것을 빎. 우리말샘

주12

평양의 대동강(大同江) 가에 있는 누각. 관서 팔경의 하나로 대동강을 내려다볼 수 있는 덕암(德巖)이라는 바위 위에 있다. 조선 중종 때 허굉(許硡)이 건립하였다. 우리말샘

주13

인정 없이 모질게 대함. 우리말샘

주14

보통 수준보다 훨씬 뛰어나다. 우리말샘

주15

금품이나 그 밖의 수단으로 남의 마음을 사서 자기편으로 만드는 일. 우리말샘

주16

부부 관계나 연인 관계를 맺게 된 연분. 우리말샘

주17

한집안에 딸린 구성원. 우리말샘

주18

남에게 빌어먹고 사는 사람. 우리말샘

주19

겉으로 드러나는 차림이나 태도. 우리말샘

주20

조선 시대에, 의정부에 속한 정일품 벼슬. 우리말샘

주21

절개와 의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2

사람을 잘 알아보는 능력. 우리말샘

주23

19세기 이전에 창작된 소설을 이르는 말. 우리나라의 경우 신소설이 나오기 전까지 창작된 소설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24

선량한 사람. 우리말샘

주25

출세하여 이름을 세상에 떨침. 우리말샘

주26

신념, 신의 따위를 굽히지 아니하고 굳게 지키는 꿋꿋한 태도. 우리말샘

주27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귀하게 되어서 세상에 드러나 온갖 영광을 누림. 우리말샘

주28

착한 일을 권장하고 악한 일을 징계함. 우리말샘

주29

어사나 감사가 못된 짓을 많이 한 고을의 원을 파면하고 관가의 창고를 봉하여 잠금. 또는 그런 일. 우리말샘

주30

다른 것을 본뜨거나 본받음. 우리말샘

주31

과거에 급제하던 일. 우리말샘

주32

재능이나 포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때를 만나지 못하여 출세를 못함. 우리말샘

주33

평안북도 강계군에 있는 면. 만포선의 중요한 철도역이며, 농산지이다. 명승지로 관서 팔경의 하나인 인풍루를 비롯하여 망미정, 북천루(北川樓) 따위가 있다. 군청 소재지이다. 우리말샘

주34

어떤 사람. 우리말샘

주35

재물이나 세력 따위가 쇠하여 보잘것없이 됨. 우리말샘

주36

남의 어려운 처지를 자기 일처럼 딱하고 가엾게 여김. 우리말샘

주37

세상에서 떳떳한 자리를 차지하고 지위를 확고하게 세움. 우리말샘

주38

반복하여 나타나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낱말ㆍ문구ㆍ내용을 이르는 말. 설화에서 반복하여 등장하는 이별한 임이나 서양 동화의 요술 할머니 또는 미녀 따위를 예로 들 수 있다. 우리말샘

주40

말로 전하여 내려옴. 또는 말로 전함. 우리말샘

주41

문자가 없거나 문자를 사용하지 못하던 상황에서 말로 이어져 계승되는 일. 우리말샘

주42

기입되어야 할 것이 기록에서 빠짐. 또는 그렇게 되게 함. 우리말샘

주43

이미 있는 것에 덧붙이거나 보탬. 우리말샘

주44

필요한 자료를 찾아 모아서 적거나 녹음함. 또는 그런 기록이나 녹음. 우리말샘

주45

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우리말샘

주46

일반 백성들 사이. 우리말샘

주47

세상에 널리 퍼짐. 또는 세상에 널리 퍼뜨림. 우리말샘

주48

구 김동욱(金東旭) 소장본

주49

사람을 잘 알아보는 능력.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