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봉집 ()

목차
관련 정보
옥봉문집
옥봉문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권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권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47년(헌종 13) 자손들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말에 유치명(柳致明)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147수, 소(疏) 1편, 서(書) 6편, 잡저 5편, 축문 1편, 제문 14편, 행장 1편, 비갈(碑碣) 2편, 묘지명 2편, 권4에 부록으로 만사 14수, 증유(贈遺) 15수, 묘갈명 2편, 묘지명·행장·행록(行錄) 각 1편, 봉안문 3편, 축문·고유문·상량문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상봉대(翔鳳臺)」·「계림(鷄林)」·「소봉도(小蓬島)」·「의운정(倚雲亭)」 등은 주위 경관의 묘사와 시인의 감정이 잘 조화되어 있으며, 「유천등산(遊天登山)」·「파관장귀대인마부지(罷官將歸待人馬不至)」 등에는 산행에서 겪는 일들이 잘 묘사되어 있고, 기다리는 인간의 초조한 심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소의 「의청축내성소(擬請築內城疏)」는 큰 전쟁을 치르고 난 뒤 폐허가 된 도성의 안위를 염려하여 왕궁을 중심으로 성을 쌓기를 청한 것으로, 임진왜란의 참혹한 환란은 사전에 준비하지 않은 데 있다고 지적하면서, 서쪽으로는 사복천(司僕川), 남쪽으로는 광통교(廣通橋)를 연결하는 내성을 쌓아 궁실을 보호하고 전란에 대비하자고 청하였다.

책의 「문화취재(問貨聚財)」에서는 국가의 재정은 들어오는 것을 보아 지출의 예산을 세워야 되는데, 국가의 재정을 절약하면 국민의 부담이 경감된다고 설명하면서, 『대학』의 혈구(絜矩)의 도를 연구하여 적용하면 취산(聚散)이 합리적으로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밖에도 가례(家禮)의 대상에 대하여 질문한 「한강선생문목(寒岡先生問目)」과 제사의 절차를 논한 「제식(祭式)」이 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