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봉집 ()

목차
관련 정보
가림세고 / 잡저(독소학설)
가림세고 / 잡저(독소학설)
한문학
문헌
조선시대 여류시인 이옥봉(李玉峯)이 지은 시 32편을 후손 조정만이 간행한 시집.
정의
조선시대 여류시인 이옥봉(李玉峯)이 지은 시 32편을 후손 조정만이 간행한 시집.
개설

옥봉은 그의 호로, 본관은 전주 이씨이다. 왕실 종친인 군수 이봉지(李逢之)의 서녀로 태어나 승지를 지낸 조원의 소실로 들어갔다. 시 32편이 후손 조정만(趙正萬)에 의해 『가림세고(嘉林世稿)』에 실려 전한다. 『가림세고』는 조원·조희일(趙希逸)·조석형(趙錫馨)의 3세의 시문을 합하여 상중하 3편으로 만들고, 권말에 옥봉의 시를 부록하여 1704년(숙종 30)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내용

「옥봉집」의 서두에는 “시문에 능한 시들이 많으나 흩어져 없어진 것을 애석하게 생각하여 여기 권말에 붙여둔다.”고 부록한 뜻을 밝혔다. 말미에는 조정만(趙正萬)의 발문이 있다. 시집 속에는 오언절구 10편, 칠언절구 14편, 오언배율 4편, 그리고 칠언배율 4편이 수록되어 있다.

「영월도중(寧越道中)」·「증운강(贈雲江)」·「칠석(七夕)」·「규정(閨情)」·「고별리(告別離)」 같은 시는 인구에 회자되었다. 「위인송원(爲人訟寃)」이라는 시는 이웃에 소도둑으로 몰린 사람을 대신하여 지어준 시이다.

“세숫대로 거울 삼고 물 발라 기름 삼아 머리 빗을지라도 내가 직녀가 아닌데 그대가 어찌 견우가 되리.”라고 하여 그녀의 재치를 보여 준다. 이 중에서 11편은 『황명열조시집(皇明列朝詩集)』에 수록된 것을 옮겨 놓은 것이다. 11편 중에서 「반죽원(斑竹怨)」과 「채련곡(採蓮曲)」은 이달(李達)의 시집에도 실려 있는 작품이어서 옥봉의 작이라고 하기에 의심스럽다.

의의와 평가

「옥봉집」은 『조선역대여류문집(朝鮮歷代女流文集)』에는 그 전 작품을 활자로 수록하였다. 『역대여류한시문선(歷代女流漢詩文選)』에는 전역하여 수록하였다. 『금잔디』(金億)에서는 12수, 『꽃다발』(金億)에는 11수를 번역하여 수록하였다.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권250)
『가림세고(嘉林世稿)』
『죽음집(竹陰集)』
『일사유사(逸士遺事)』
『금잔디』(김억)
『꽃다발』(김억)
『역대여류한시문선(歷代女流漢詩文選)』(김지용, 대양서적, 1972)
『조선역대여류문집(朝鮮歷代女流文集)』(민병도, 을유문화사, 1950)
「한국여성문학사연구(韓國女性文學史硏究)」(김지용, 『수도사대논문집』 5, 196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지용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