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어용익의 시 · 잡저 · 설 · 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어용익의 시 · 잡저 · 설 · 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3권 3책. 필사본. 필사연대는 분명하지 않고, 후손이 고본(稿本)을 초사한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328수, 권3에 잡저 3편, 제문 3편, 설(說) 2편, 발(跋) 2편, 기(記) 2편, 묘지문·장초(狀草)·전(傳)·서(書)·논(論)·애사(哀辭)·서(序) 각 1편 등이 분류되지 않고 수록되어 있다.

시가 비교적 많은데, 그가 농촌에 묻혀 살아 변모해가는 세상과는 단절되어 있었으므로 시대에 대한 인식은 보이지 않고, 자신을 고요히 관조하는 태도를 볼 수 있을 뿐이다.

「만음(謾吟)」 2수는 농촌에서 자연과 더불어 곤궁하게 살아가는 자신의 처지를 잘 묘사하였고, 「송하(松下)」는 초연한 경지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안정된 내면을 잘 그려낸 작품이다. 「선죽교(善竹橋)」는 가행체(歌行體)의 장편으로 정몽주(鄭夢周)의 학문과 도덕을 찬양하고, 아울러 충신의 말로가 비참함을 한탄한 내용이다.

「술부(述賦)」는 부체로 쓴 특이한 글로 자기의 가보(家譜)를 쓴 것이다. 「유단산기(遊丹山記)」는 단산을 관람한 기행일기로, 도중에 참배한 명현의 사당과 산수, 누대(樓臺)를 돌아본 감상을 자세히 적고 있다.

「옥호한화(玉壺閑話)」는 15장 분량의 잡기인데, 자신과 주위에서 생긴 일을 생각나는 대로 적은 것이다. 이 글에서 그는 자신의 팔불능(八不能)과 팔능(八能)을 적어 스스로를 솔직하게 평가하기도 하였다.

이밖에 명(銘)은 거문고·베개·책상·담뱃대 등 여러 일용기물에 붙인 것들이다. 「선부군심천당공가전(先府君心天堂公家傳)」은 아버지의 약전이며, 조광조(趙光祖)·송시열(宋時烈) 등 명현을 추모한 시들도 있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