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조원의 시 · 소 · 제문 · 묘갈명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조원의 시 · 소 · 제문 · 묘갈명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14권 6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여부는 자세하지 않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10에 시 1,823수, 권11·12에 소(疏) 83편, 권13·14에 의(議) 1편, 윤음(綸音) 1편, 자문(咨文) 1편, 전문(箋文) 1편, 서(序) 5편, 기(記) 3편, 명(銘) 1편, 상량문 3편, 제문 9편, 행장 2편, 비음기(碑陰記) 1편, 묘표 3편, 묘갈명 7편, 묘지명 5편, 부록으로 행장 1편, 시장(諡狀)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 품격이 높고 청아하며 활발하다.

「정언진소회소(正言陳所懷疏)」는 정언으로 있을 때에 임금과 신하의 분의(分義)를 밝힌 것이다. 「재결가청소(災結加請疏)」는 전라도관찰사로 있을 때 흉년이 들어 백성들이 고생하고 있는 실정을 보고하여 부세감면의 은전을 청한 것이다.

윤음은 흉년이 들었을 때 왕이 내린 위로의 말로서, 왕정은 농사일을 힘쓰는 것으로 근본을 삼는 것이니 농사를 중하게 여기라고 타이르고, 봄이 되어 농사철이 돌아오니 때를 잃지 말고 부지런히 농사를 짓도록 하라는 내용이다.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