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를 세워 국민을 계몽하고 교화한 온조왕의 공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현재 두 곳에 있다. 한 곳은 충청남도 직산에 중건된 것이고, 한 곳은 경기도 광주의 남한산성 안에 있는 것으로 창건 연대는 미상이나 고려 때 세운 것으로 전한다.
병자호란에 앞서 국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남한산성을 개축했는데, 그 때 성을 견고하게 쌓아 병자호란의 격전에도 무너지지 않게 한 이서(李曙)의 공을 추모해 병자호란이 끝난 뒤에 이서를 배향하였다.
다른 한 곳은 충청남도 직산에 있다. 1465년(세조 11) 그 지방 주민들의 원에 의해 창건하였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왜병들이 불을 질러 소실되었던 것을 1603년 충청감사 유근(柳根)의 청에 의하여 중건하였다.
2월과 8월에 날을 가려서 향을 하사하고 광주유수와 직산군수에게 명해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 헌관은 제의 절차에 따라 다르다. 관찰사가 참제했을 때는 관찰사가 초헌관이 되며, 조정에서 제관을 파견했을 때는 견제관(遣祭官)이 초헌관이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광주유수와 직산군수가 초헌관이 된다.
축관은 그 고장의 교수가 되고, 제관은 그곳 유생 중에서 선발하였다. 찬품(饌品)은 종사의 예에 속해서 변(籩) 10, 두(豆) 10, 조(俎) 2, 보개(寶蓋) 각 2, 작(爵) 3, 희준(犧尊) 2, 상준(象尊) 2, 산뢰(山壘) 2로 되어 있다.
조정에서 제관을 보내 제사를 지낸 예는 극히 드물지만, 문헌 상으로 나타난 것을 보면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인조가 남한산성에 피난해 있으면서 예조판서 김상헌(金尙憲)을 보내 국가의 안녕과 백성의 질고(疾苦)를 덜어주도록 치제(致祭)했고, 1688년숙종이 제관을 보내서 음우(陰祐)를 빈 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