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상권과 하권으로 되어 있다. 한국민족미술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상권은 건치연혁(建置沿革)·관직(官職)·군명(郡名)·성씨(姓氏)·산천(山川)·풍속(風俗)·형승(形勝)·토산(土産)·진공(進貢)·방리(坊里)·호구(戶口)·전부(田賦)·창고(倉庫)·조적(糶糴)·군액(軍額)·군기(軍器)·묘전(廟殿)·단사(壇祠)·학교(學校)·성지(城池)·공해(公廨)·누정(樓亭)·관방(關防)·역원(驛院)·총묘(塚墓)·불우(佛宇)·교량(橋梁)·제언(堤堰)·장시(場市)·봉름(俸廩)·요역(徭役)·상납(上納)·노비(奴婢)·고적(古蹟)·고사(故事), 하권은 인물(人物)·명신(名臣)·효자(孝子)·효부(孝婦)·과환(科宦)·유림(儒林) 등으로 되어 있다.
『완산지(完山誌)』를 전사(全寫)하였으나 많은 기문(記文)이 생략되고, 노비(奴婢) 항목이 추가되었으며, 삼례도역지도(參禮道驛地圖)와 역지서(驛誌序) 및 역지(驛誌) 등이 첨부되어 있다.
특기할 사항은 1884년 2월 사찰사(使札使)가 등출(騰出)하였다는 간기가 있고, 보성문고(普成文庫)와 홍협주(洪浹周)의 인(印)이 찍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