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림 큰곰 ( 큰곰)

목차
동물
생물
자강도 용림군 후지리에 서식하는 불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자강도 용림군 후지리에 서식하는 불곰.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124호. 큰 곰은 남한의 표준어로 불곰이라 한다. 이 지역에서 불곰이 살고 있는 지대는 와갈봉(臥碣峰, 2,262m)을 비롯하여 고석곡산(古石谷山, 1,871m), 민새봉(閔塞峰, 1,846m) 등 1,800m 이상 되는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산림은 주로 분비나무·가문비나무·이깔나무 등의 침엽수와 자작나무·사시나무 등의 활엽수가 혼성림을 이루고 있으며 떨기나무류와 초본식물이 많이 자라고 있다.

포유동물로는 노루·사향노루·산양·청서 따위의 초식성 동물, 여우·대륙목도리담비(북한명 산달)·족제비 따위의 육식성 동물, 멧돼지·오소리 따위의 잡식성 동물들이 살고 있다. 개울에는 열목어·산천어·산종개 따위의 물고기들이 살고 있다.

용림 일대에서 사는 불곰의 몸길이는 150∼200㎝, 몸무게는 150∼250㎏이다. 인재백산(人在白山, 1,814m) 북쪽에는 몸무게가 500∼600㎏이나 되는 불곰이 살고 있다고 한다. 불곰은 반달가슴곰에 비하여 매우 커서 현재 세계 곰 종류들 중 가장 큰 종류이다.

생태

체색은 전체가 순갈색인데 흑백을 포함한 갈색, 회백색을 띤 흑색 또는 담갈색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불곰은 수분이 많은 야생식물의 뿌리, 어린 싹, 산딸기·머루와 같은 장과(漿果), 굳은 열매 또는 밭의 보리·밀·옥수수 등 식물성 먹이, 꿀, 곤충의 번데기, 개미 따위를 먹으며, 멧돼지 새끼를 잡아먹기도 한다.

통나무의 빈 구멍 속에 보금자리를 준비하여 늦은 가을에 겨울잠을 잔다. 교미시기는 5∼7월이고, 임신기간은 195∼225일이며 12월∼1월에 2∼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암컷은 생후 4년 만에 새끼를 낳기 시작한다. 불곰이 다 자라는 데는 10∼12년이 걸리며, 최고 연령은 50세쯤이다.

한국에서는 불곰은 평안북도의 동부와 함경도 일부에만 분포한다. 국외로는 만주의 고산지대와 러시아의 우수리 지방에 분포한다.

참고문헌

『한국동식물도감』 제7권 동물편(포유류)(원병휘, 삼화출판사, 1967)
『지리상식백과』(1)(리홍섭,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6)
『북한천연기념물편람』(리성대·리금철, 농업출판사, 199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