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마놀이 (놀이)

목차
민속·인류
놀이
섣달그믐과 정월 대보름에 전라도(현,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성을 중심으로 주민들의 협동심을 강화하고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행하던 민속놀이.
목차
정의
섣달그믐과 정월 대보름에 전라도(현,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성을 중심으로 주민들의 협동심을 강화하고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행하던 민속놀이.
내용

‘용마희(龍馬戱)’ 또는 ‘용말놀음’이라고도 한다. 이 놀이는 조선조 말엽까지 행해지다가 중단되었는데, 최근에 복원되어 재현된 바 있다. 이 놀이에 대한 기록이 옛 남원읍지인 ≪용성지 龍城誌≫에 전한다.

그 내용은 “고을 풍속에 옛적부터 악귀를 제어하고 재앙을 쫓는 외에 또 그해의 풍년과 흉년을 점치기 위하여 용마놀음을 하였다. 고을이름이 용성(龍城)인 데서 용마놀음이라 한 듯하다. 매년 섣달그믐이나 정월대보름에 그 사는 곳을 남과 북 두 편으로 나누어 각각 큰 용마를 만들어 모두 오체(五體)에 용의 무늬를 그린 뒤 외바퀴수레에 실어 거리로 나오면서 백가지 놀음으로 대진하여 승부를 겨룬다. 남쪽이 이기면 풍년이 들고, 북쪽이 이기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그 유래가 오랜 고로 관가에서도 금하지 아니하고 간혹 도와주기도 하더라.”로 되어 있다.

이 기록이 너무 간단하여 놀이의 규모와 내용을 자세히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남원시 산내면 지리산 기슭 달궁(達宮)마을은 마한 6대 임금인 효왕(孝王) 30년(서기전 84)경부터 10대 임금인 학왕(學王) 3년(서기전 13)까지 71년 동안 마한의 도읍지였다.

이 마을은 높이 약 1,000m나 되는 고원지대로서 비가 오지 않으면 농사를 전혀 지을 수 없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지리산 상봉(上峰)에 올라가 해마다 기우제(祈雨祭)를 지냈는데, 지성이면 감천이라고 검은 구름이 산봉우리를 뒤덮고 하늘로부터 용이 비를 몰고 내려와서 농사를 잘 지을 수가 있었고, 지리산을 중심으로 동서남북 사방으로 크고 작은 강과 냇물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강과 냇물에서는 많은 용들이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여 남원지방의 곳곳에는 숱한 용소(龍沼)들이 있다고 한다. 이 용의 덕분으로 한재와 수재 없이 잘 살아오던 마한 땅은 그 뒤 백제가 전역을 점령하여 나라를 세우자 백제에 합병되었다.

그 뒤 백제에 풍년이 들자 백제왕은 남원이 고대로부터 용 때문에 잘 사는 고을이라 하여 고룡군이라 이름하고, 후손들이 용을 잊지 않게 하기 위하여 ‘용마놀이’를 하게 하였다고 전한다.

남원은 고대로부터 고룡군(古龍郡) · 용성부(龍城府) 등으로 불렸으며, 교룡산성(蛟龍山城) · 청룡사(靑龍寺) · 용성관(龍城館) · 용추촌(龍湫村) · 고룡서원(古龍書院) 등 용자가 든 수많은 곳과 건물이 있음을 본다.

옛날 남원부사들은 이 지방 특유의 민속놀이인 용마놀이를 후손들에게도 전승하게 하고 남원 부민들의 협동심 강화를 위하여 적극 후원하고 남원의 연중행사 중에서 제일 큰 행사로 삼아왔다.

이 놀이는 남원성을 중심으로 남북 두 편으로 나누어 하였으며, 싸워서 이기는 결과를 보고 그해의 풍년과 흉년을 점쳤는데, 부민들은 남쪽의 승리를 은근히 빈다고 한다. 그들은 남쪽이 이기면 풍년이 들고, 북쪽이 이기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놀이의 연구」(최상수, 『예술논문집』 14, 예술원, 1975)
『남원(南原)의 용마(龍馬)놀이』(최상수, 새마을금고, 새마을금고연합회, 1980.12.)
집필자
최상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