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거왕 ()

고대사
인물
위만조선의 제3대(재위: ?~BCE.108) 왕.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BC 108년
관련 사건
대한전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위만조선의 제3대(재위: ?~BCE.108) 왕.
생애와 활동사항

위만(衛滿)의 손자이다. 위만이 즉위한 뒤, 고조선은 우세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많은 지역을 정복하면서 세력이 더욱 강대해졌다. 우거왕은 이것을 배경으로 중간무역의 이익을 독점하기 위해 한강 이남에 있는 진국(辰國) 등 여러 나라가 한(漢)나라와 직접 교통하는 것을 금지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고조선이 당시 몽고에서 만주로 뻗어오던 흉노와 연결될 것을 두려워하고 있던 한나라 정부를 더욱 자극시켜 고조선과 한나라는 정치적으로 서로 대립하기 시작하였다.

대립관계를 해소하려는 정치적 교섭이 실패로 돌아가자, 한무제(漢武帝)는 서기전 109년 마침내 무력으로 침략해왔다. 고조선은 이에 대항해 1년을 잘 싸웠으나 마침내 수도인 왕검성(王儉城)이 적군에게 포위되면서 고조선 내부는 화전 양파로 분열되었다. 주화파(主和派)는 항복을 건의했지만 우거왕이 이를 거부하자 주화파의 일부는 적군에게 투항하였다. 주화파의 한 사람인 니계상(尼谿相) 삼(參)은 서기전 108년 6월 자객을 보내 우거왕을 살해하였다. 그 뒤, 대신 성기(成己)가 최후까지 저항을 꾀했으나 마침내 왕검성은 함락되고 고조선은 멸망하였다. 이렇게 하여 우거왕은 고조선 또는 위만조선의 마지막 왕이 되었다. '우거(右渠)'는 본래 '지배자'를 뜻하는 순 우리말로, '거수(渠帥)'와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인데, 이것이 고조선 마지막 왕의 이름으로 기록된 것이다.

우거왕이 끈기있게 저항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위씨조선이 한나라와 대항할 만한 금속문명의 혜택을 충분히 입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경하기만 했던 대외정책과 지배층 내부의 분열이 고조선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

참고문헌

『사기(史記)』
『삼국지(三國志)』
『한국사강좌(韓國史講座) 1-고대편(古代篇)-)』(이기백·이기동, 일주각, 1982)
「위씨조선흥망고(衛氏朝鮮興亡考)」(리병도, 『서울대학교논문집-인문사회과학-』 4, 1956 ;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위만조선관계중국측사료(衛滿朝鮮關係中國側史料)에 대한 재검토(再檢討)」(김한규, 『부산여자대학논문집』 8, 197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