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조시조 ()

목차
국악
개념
가곡의 우조풍 가락을 시조 본연의 계면조 가락에 섞어 부르는 시조창.
목차
정의
가곡의 우조풍 가락을 시조 본연의 계면조 가락에 섞어 부르는 시조창.
내용

가곡(歌曲)의 우조풍(羽調風)의 가락을 시조 본연의 계면조(界面調)가락에 섞어 부르는 시조이다. 임기준(林基俊)·이문언(李文彦)·최상욱(崔相旭) 등에 의하여 전창(傳唱)된 시조로서, 주로 서울 우대, 즉 유각골(樓上洞·樓下洞)일대의 가객들 사이에서 즐겨 불리던 곡으로 알려지고 있다.

평조(平調)의 한 종류인 우조음계에 의하여야 하는데, 이 곡은 이름만 우조시조이지 순수한 우조음계는 아니다. 곡조를 분석하면 초장·중장·종장에 있어서 각각 황(黃)·태(太)·중(仲)·임(林)·남(南)의 5음 음계적인 우조가락과 황·중·임의 3음 음계적인 계면조가락이 뒤섞여 있다. 즉, 우조시조는 계면조의 평시조에 우조적인 가락을 군데군데 삽입한 시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곡에서와 같이 조바꿈이 분명하지 못하다. 현재 전하고 있는 단 한 곡의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월정명(月正明) 월정명하니

배를 저어 금릉(金陵)에 나니

물 아래 하늘이요

하늘 가운데 명월이라

선동(仙童)아 잠긴 달 건져라

완월(玩月)하게

참고문헌

『시조음악론』(장사훈, 한국국악학회, 1973)
『시조집(時調集)』(장사훈, 1939)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