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촌시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남상교의 「서루독와」 · 「산중즉사」 · 「망해」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남상교의 「서루독와」 · 「산중즉사」 · 「망해」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저자가 천주교도였기 때문에, 우아한 문장으로 인정을 받으면서도 출간되지 못하였다. 시는 모두 244수가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영미춘야(湄春夜)」는 어느 봄날 꽃향기는 진동하는데 촉촉한 이슬에 젖은 밤공기는 차가워 적막함을 느끼게 한다는 내용이고, 「서루독와(書樓獨臥)」·「산중즉사(山中卽事)」·「산거만음(山居謾吟)」 등은 산중의 한가한 풍경을 읊은 시이다. 「등남산사(登南山寺)」·「망해(望海)」·「녹음(綠陰)」 등은 학자다운 기개와 포부를 한껏 웅장하고 화려하게 펼쳐보이고자 하였으나, 한편으로 애련의 정이 엿보이는 작품이다.

또한, 「매초고접(梅稍枯蝶)」과 「영촉(詠燭)」은 의지할 곳 없이 외롭게 시들어 죽어가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말년의 불운을 예언한 것 같다.

「유서팔영(柳絮八詠)」은 정처없이 방황하는 버들개지의 기묘한 운명과 모양을 여러 각도에서 조명하여 묘사한 것이고, 「병중서사(病中書事)」 16수는 병들어 누워 있으면서 자신이 하여야 할 일이 무엇인가를 정리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는 시이다.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