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헌금보 ()

목차
국악
문헌
1861년(추정) 작자 미상의 「초대엽」 · 「이삭대엽」 · 「삼삭대엽」 등을 수록한 악보. 가야금고악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61년(추정) 작자 미상의 「초대엽」 · 「이삭대엽」 · 「삼삭대엽」 등을 수록한 악보. 가야금고악보.
내용

편자와 연대 미상. 1책. 사본. 말미 한 면에 ‘琴家正大寶此世之無雙(금가정대보차세지무쌍) ’이라 휘호하고 ‘愚軒琴墅(우헌금서)’라고 쓰여 있다. 또, 한 면에는 묵화로 난초를 그렸는데 글씨나 그림이 뛰어난 솜씨를 보여준다.

한 그림의 다음 면에 적은 금명창(琴名唱)의 이름과 그의 직위 및 전공 악기를 명시하고 있는데, 대개 이들은 중인계층의 인물로서 이 악보의 고증에 도움이 된다. 금보의 끝면에 ‘辛酉至月日 畢着于牧洞 朴根成’이라고 한 신유년과 악보에 수록된 곡조 내용에 의하여 1861년(철종 12)으로 추정한다.

한자표기의 육보(肉譜)에 속하며, 그 내용은 우조의 초대엽(初大葉)·이삭대엽(二數大葉)·삭이대엽(數二大葉)·삼삭대엽(三數大葉)·쇠삼대엽(衰三大葉)·소용이(騷聳伊)·율당대엽(栗糖大葉), 율당계면조의 초대엽·이삭대엽·삭이대엽·삼삭대엽·쇠삭이대엽(衰數二大葉)·소용이·반롱언롱(半弄言弄)·평롱(平弄)·농각(弄刻)·우락각(羽樂刻)·계락(界樂)·우락(羽樂)·언락(言樂)·편락(偏樂)·편각(偏刻)·편(偏)·계면가락들이 7장, 양청도돌이·여민락 2∼7장, 군악, 양청도돌이 1·2장, 우헌금서·난초묵화·금명창 24명의 이름과 전공 등으로 되어 있다.

특히, 이 거문고보는 가곡(歌曲)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청주대학교 민족음악자료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음악학자료총서(韓國音樂學資料叢書)』32(국립국악원,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