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헌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김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김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48년 8대손 상호(相鎬)·상한(相漢) 등이 편집하였고, 1960년 9대손 종희(琮熙)·노윤(魯允)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금용하(琴鏞夏)·김종구(金鍾九) 등의 서문이, 권말에 상한·종희·노윤 등의 발문이 있다. 성암고서박물관,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220수, 만사 15수, 권2에 소(疏) 5편, 계사 9편, 차(箚) 1편, 권3에 서(書) 17편, 잡저 3편, 축문 7편, 제문 2편, 권4에 부록으로 만장 82수, 제문 17편, 행장 1편, 묘갈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1667년(현종 8) 이후 6년간 옥구현감으로 재직할 때 호남의 풍경과 산수를 서술한 것과, 1674년 원양도사(原襄都事)로 모부인(母夫人)의 집상(執喪) 3년 동안에 저술한 것, 1677년 단양 배소에서 수창한 것이 대부분이다.

소 중 「사수찬소(辭修撰疏)」는 1659년 효종이 죽었을 때 모후인 조대비(趙大妃)의 복상을 1년으로 결정하게 한 송시열(宋時烈)의 죄상을 강력히 논박하고, 그 때의 일을 종묘에 고유하지 않은 것은 조정의 큰 결점이라 지적한 것이다.

계사의 「청찬장악정조가석계(請竄掌樂正趙嘉錫啓)」·「논기해오례청고묘계(論己亥誤禮請告廟啓)」 등 역시 송시열의 죄상을 하늘이 알고 사람이 아는데도 그의 억울함을 벗겨달라고 한 것은 임금의 은혜를 저버리는 것이라는 점, 또 대비의 복제(服制)문제는 종사의 더 없이 큰 일인데도 지금까지 선왕(先王)에게 고하지 않았음을 지적한 글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