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현재시초 ()

우현재시초
우현재시초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안진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안진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1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71년(고종 8) 안진석의 아들 안홍술(安弘述)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조희룡의 서문, 권말에 안홍술의 지(識)와 사위 이경민(李慶民)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불분권 1책. 활자본.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단국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내용

시 89수, 서(書) 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가 수백 편에 달하였으나 저자 스스로 정리하여 없애버렸으므로 약간 편만이 남았다고 한다.

시는 소박하나 날카로운 관찰력이 엿보이며 그 표현이 기묘하다. 그 중 「석경루초하(石瓊樓初夏)」 5수는 석경루 주위 경관의 싱그러운 여름을 표현한 것이고, 「석경루야좌(石瓊樓夜坐)」 3수는 밤과 낮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경치를 운치 있게 묘사한 작품이다. 「초하과옥계(初夏過玉溪)」·「벽원정소하(碧遠亭消夏)」·「풍암소하(風巖消夏)」는 명승지를 두루 찾아다니면서 무성한 여름의 경치를 찬미한 시로, 극심한 더위를 피하여 한유(閑遊)하는 선비의 의취를 느낄 수 있다.

「흔연관모춘(欣涓館暮春)」 9수는 흔연관 주위의 절경과 더불어 작자의 기발한 시상이 엮어낸 시정을 묘사하여 한 폭의 그림을 바라보는 듯하다. 「제팔준마도(題八駿馬圖)」는 「팔준마도」를 보고 하나의 준마가 각기 다른 모습으로 그려져 화가의 뚜렷한 개성이 나타나 있음을 찬탄하여 읊은 시이다. 그밖에 「북장상추(北莊賞秋)」·「한북춘상(漢北春賞)」·「지곡잡영(地谷雜詠)」 등의 시가 주목할 만하다. 서(書)인 「장녀납징회서(長女納徵回書)」는 딸을 시집보내면서 사돈댁에 보낸 서찰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