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숭이의 재판 (원숭이의 )

목차
구비문학
작품
원숭이가 음식을 공평하게 나눈다면서 자기가 다 먹어 버린다는 내용의 설화.
이칭
이칭
원숭이의 꾀, 꾀 많은 원숭이
목차
정의
원숭이가 음식을 공평하게 나눈다면서 자기가 다 먹어 버린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동물담 중 지략담(智略譚)에 속하며, ‘원숭이의 꾀’, ‘꾀 많은 원숭이’ 등으로도 불린다. 전국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에 이리와 여우가 먹이를 찾아 나섰다가 길에서 고깃덩어리를 발견하자, 서로 자기 것이라고 다투었다. 다툼이 좀처럼 끝나지 않아서 지혜롭다는 원숭이에게 찾아가서 결판을 내리기로 하였다.

재판을 부탁받은 원숭이는 공평하게 나눈다면서 고기를 반으로 잘랐는데, 한쪽은 크게 다른 한쪽은 작게 잘랐다. 그러고는 큰 것을 작은 것과 같게 만들어야 한다면서 다시 큰 쪽을 자기가 베어 먹었다. 그러나 다시 차이가 생겼고, 원숭이는 이런 짓을 몇 번 되풀이하여 고기를 혼자 다 먹어 버리고는 도망쳐 버렸다.

일본에 비슷한 내용의 설화가 있으며, 습득물 분배를 화소(話素)로 하는 유화(類話)는 범세계적 분포를 보이고 있다. 각 편에 따라서 원숭이 대신 토끼가 재판을 하거나, 이리 대신 게 혹은 개가 등장하는 경우도 있으나, 의미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다.

이 설화는 다툼의 당사자가 아닌 제삼자가 이득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중국의 『전국책(戰國策)』에 나오는 「휼방상쟁어부지리(鷸蚌相爭漁父之利)」와 그 내용이 비슷하나, 원숭이는 자신의 지혜를 능동적으로 발휘하고 있어서 뜻하지 않게 이득을 얻는 어부와는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별로 흔하지 않은 원숭이 이야기로서는 이 설화가 대표적이다

이 설화는 주위의 상황은 보지도 않고 오로지 자기 눈앞의 이익만을 다투다가는 결국 그 조그마한 이익마저도 놓치고 만다는 교훈이 담겨져 있다. 그래서 원숭이의 교활성이 부정적이지만은 않고, 마땅히 징계할 대상을 징계하는 수단으로서 긍정적인 지혜가 된다.

결국, 이 설화는 세상을 지혜롭게 살아가는 길이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동물 세계에 비유하여 단순하면서도 묘미 있게 잘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전래동화연구』(손동인, 정음문화사, 1984)
『한국전래동화집』4(이원수, 창작과 비평사, 1980)
『한국민담의 비교연구』(성기설, 일조각, 1979)
『조선동화대집(朝鮮童話大集)』(심선린, 한성도서주식회사, 192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