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군위친통곡가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기에 강복중(姜復中)이 지은 장편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강복중(姜復中)이 지은 장편가사.
구성 및 형식

『청계유사(淸溪遺事)』 권2에 해당하는 그의 국문가사집인 『청계망사공유사가사(淸溪妄士公遺事歌詞)』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및 평가

임병양란(壬丙兩亂) 뒤 극심하게 피폐된 시대상을 바라보던 작자가 임금을 그리워하는 충성심과 나라를 걱정하고 세상을 경계하는 생각을 읊고 있다.

또 노부의 순상지변(舜象之變: 형인 순을 동생인 상이 죽이려 했던 일)을 만난 애달픔과 당시 그를 괴롭혔던 악당들에 대한 분노를 통탄하면서 지은 작품이다. 이 가사를 지은 동기가 자신의 원망스럽고 억울한 회포를 마음껏 펼쳐보이는 데 있었기 때문에 한문 사부(辭賦)와 같이 파격적인 산문시형으로 서술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작품의 음보를 정확히 따지기가 힘들며, 작품의 행수도 헤아릴 수 없다. 몇 구절만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평생에 강개(慷槪)만 품고 천하를 다 돌면서/굶으락 먹으락 이러가며 저러가며 주야에 헵뜨다가/천운(天運)이 불행하여 조선국가(朝鮮國家)도 역유불행이로다/……(중략)……/애고 서룬지고 이 내 뜻 어데 두리/내 나히 젊었으면/용천검(龍泉劒) 막야검(莫耶劒) 비수검(匕首劒)을 둘러메고/추풍낙엽(秋風落葉) 나죄 그리매 같은/세상의 분운(紛紜) 아해들을 신시경(身始輕)아/내 몸이 일장검 둘러쳐 다 베혀 바리고서/두만강(豆滿江) 말을 씻겨 장백산(長白山)에 기를 박고/살배만 통음(痛飮)하고 무용천(舞龍泉)을 아니하랴/……(중략)……/심심야야(沈沈夜夜)에 장단가(長短歌)만 벗을 삼고/장탄식 장탄식 통가(痛歌)만 하내다.”

참고문헌

「강복중의 가사와 향반의식」(한창훈, 『한국가사문학연구』, 태학사, 1995)
「충남의 고전문학」(강전섭, 『충청남도지』하, 1979)
「강청계의 장가 이편에 대하여」(강전섭, 『어문학』22, 197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