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2책. 목활자본. 1913년 양손자 규성(奎聲)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익원(趙翼元)의 서문과 위헌선생양가세보(渭軒先生養家世譜)가 있고, 권말에 조익원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2에 시·문, 권3에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양가세보」는 내시계보(內侍系譜)로서, 1세에서부터 14세까지의 성(姓)·휘(諱)·본관·직품 등을 낱낱이 열록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특히 당시 내시에게 내렸던 품계, 그리고 그들이 가통(家統)을 계승하던 방법 등을 엿볼 수 있다.
문은 「정제문(井祭文)」 1편이 있을 뿐, 그 밖에는 모두 시로, 대부분 한가한 시간을 보내면서 사물의 변화를 읊조린 것이다. 부록에는 허운(許運)이 쓴 행장, 이인우(李仁宇)가 쓴 묘갈명, 규성이 쓴 가장과 유사, 정구섭(丁九燮)·정대승(丁大升)·김상순(金相舜) 등이 쓴 찬시 등이 실려 있다.
그 중 유사는 저자의 평소 언행을 기록한 것으로서 그의 수양과 인격을 엿볼 수 있음은 물론, 후인들의 규범이 되기도 한다. 이 책은 저자가 내시라는 점에서 특이하고, 또 수록된 작품 대부분이 사물의 변화를 음미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저자 자신의 인생관을 그린 듯한 느낌을 받게 하는 것도 보다 감동적이다.
서문과 발문을 쓴 조익원은 그의 시에 대하여 “천연적 성질에서 나와 꾸밈새가 없고, 무의미한 것 같으면서도 진지한 의미가 들어 있으며, 단아하고 순수하여 군자(君子)의 풍도(風度)가 들어 있다.”라고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