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승정원의 담당 승지를 통하여 명령을 받는 이에게 전달된 왕명서(王命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승정원의 담당 승지를 통하여 명령을 받는 이에게 전달된 왕명서(王命書).
내용

교서는 대개 문신이 제진(製進)하여 왕의 열람 또는 청문을 거쳐 하자가 없으면 이를 서사(書寫)하고 보인(寶印)을 찍은 다음 송부(送付)한다. 하지만 유지는 담당 승지가 왕으로부터 명령을 받고 그 내용을 직접 써서 자신의 직함과 성(姓)을 쓰고 수결(手決)한 다음 명령을 받는 이에게 송부하여 주는 중요한 왕명서이다.

유지는 그 자체가 곧 왕명이고, 그 내용은 국가 기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유지의 전달과정에서의 실착(失錯)은 무거운 죄로 다스렸다. 유지는 왕조실록 등 관찬사서에도 전재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과 관계 있는 것이 적지 않으므로 사료로서의 가치가 크게 평가된다.

현전하는 유지로는 규장각 도서 중에 임진왜란 당시에 발한 것이 25장 정도 보존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의 것도 약간 전하여지고 있다. 지방에도 임진왜란 전후에 유성룡(柳成龍)·권응수(權應銖) 등에게 내린 것을 비롯하여 약간의 유지가 전래되고 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전율통보(典律通補)』
『한국(韓國) 고문서(古文書) 연구(硏究)』(최승희, 지식산업사, 1989)
『고문서집진(古文書集眞)』(김동욱 편, 연세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7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