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칠월 흐린 날 ( 흐린 날)

목차
국악
작품
서울지방 휘모리 잡가.
이칭
이칭
어듸야 낄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지방 휘모리 잡가.
내용

이 노래는 최남선(崔南善)이 편찬한 『시조유취(時調類聚)』의 ‘어듸야 낄낄’이라는 옛 장형시조(長型時調)에 결말을 넣어 부른 것으로 ‘어듸야 낄낄’로 칭하기도 한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어듸야 셀셀/소 모라 가는 노랑 듸궁이/더벙머리 아히놈아/게 좀 셕거라/말 물러보자/져긔 저 건너 웅덩이 속의 지지ᄂᆞᆫ 밤/장마의 고기가 슉굴만니 모얏기로/죠리 죵 다락기에 가득이 담아/집흘 만이 츄려 먹에를 질너네/쇠 궁둥이에 언져/쥭게 지ᄂᆡ는 역로(曆路)에/임(任)의 집 전(傳)허여 쥬렴/우리도 사주팔자기박(四柱八字奇薄)ᄒᆞ여/나무집 무엄 사는 고로/식전(食前)이면 쇠물을 허고/나지면 농사(農事)를 짓고/밤이면 ᄉᆡᆨ기를 ᄭᅩ고/정(正)밤중이면 언문자(諺文字)나 ᄯᅳ더 보고/한달레 슐담베 겻들려 수백번(數百番) 먹는 몸이기로 전(傳)헐둥말둥.

장단은 한 단위의 자수(字數)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흥겨운 볶는 염불장단으로, 일종의 엮음식 노래이다.

참고문헌

『한국가창대계』(이창배, 홍인문화사,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