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변에 속한다. 일무(佾舞)는 문무(文舞)가 추어지고, 등가(登歌)에서 음악을 아뢴다. 원래는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제된 보태평지악의 제5변이었으나 세조 때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었다.
태조의 덕을 찬양한 곡으로 노랫말은 모두 4언 12구의 한시로 되어 있고, 세조는 세종 때의 노래말을 약간 고쳐서 사용하였다. 곡명은 노래말 중의 ‘신화융흡(神化隆洽)’에서 따온 것이다.
노래말의 원문과 우리말 번역은 다음과 같다.
(아아 위대하고 거룩하신 태조께서 아 그 덕이 크시도다.
어짐으로 안정하게 하시고 의로 복종하게 하셨으니
신성하신 교화가 융성하고 흡족하였도다.
멀리멀리 저 섬 오랑캐로부터 저 산 오랑캐에 미치기까지
지극히 착하게 하시므로 포섭하시니 무리를 따르지 않는 자 없도다.
물을 건너고 산을 넘으시어 우리를 성복하게 하심 무궁하시도다.
아아 빛나는 그 신령스러움이여 가까운 데는 안도하게 하시고,
먼 곳은 엄숙하게 하셨도다.
於皇聖祖 遹駿厥德 仁綏義服 神化隆洽 憬彼島夷 及其山戎 孔淑以懷 莫不率從 航之梯之 款我繹繹 於赫厥靈 邇妥遠肅
원래 고려 속악인 「풍입송(風入松)」을 줄여 만든 곡으로 임종궁평조(林鐘宮平調)에서 황종궁평조(黃鐘宮平調)로 세조 때 바꾸어진 5음 음계의 곡이다.
박(拍)은 매구에 한 번 들어갔고, 노래말의 리듬은 5·3의 반복이며, 장단도 규칙적인 장단이었으나, 현행의 것은 모두가 불규칙적이다. 종지형은 하일(下一)에서 하오(下五)로 끝나는 하행종지형이다.
『세종실록』악보·『세조실록』악보·『대악후보(大樂後譜)』·『속악원보(俗樂源譜)』·『시용무보(時用舞譜)』 등에 악보가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