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대조례 ()

목차
관련 정보
은대조례
은대조례
근대사
문헌
1870년 흥선대원군의 명을 받아 승정원에서 정무를 전달, 집행하는 과정을 기록한 역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70년 흥선대원군의 명을 받아 승정원에서 정무를 전달, 집행하는 과정을 기록한 역사서.
개설

전사자(全史字)의 활자를 써서 간행하였다. 본래 승정원에 관한 여러 사례를 적은 책으로는 2종의 『은대편고(銀臺便攷)』가 있다.

하나는 헌종까지, 또 하나는 철종까지의 내용을 적은 것으로 각각 11권 10책, 4권 3책이다. 이것이 번잡하여 간편하게 임금과 승지들의 요람(要覽)에 참고하고자 간추려 엮은 것이 이 『은대조례』이다.

내용

서문·목록·고사(故事)·이고(吏攷)·호고(戶攷)·예고(禮攷)·병고(兵攷)·형고(刑攷)·공고(工攷)·부록으로 편차(編次)되어 있다. 서문은 흥선대원군이 썼으며, 고사는 승정원의 연혁과 직무 수행에 관련된 각종 규례의 유래를 순조 때까지 밝히고 있다.

이고는 승지 등 22조, 호고는 권농윤음(勸農綸音) 등 4조, 예고는 입학·책례정명(冊禮定名) 등 69조, 병고는 조참(朝參)·행행(幸行) 등 38조, 형고는 친국(親鞠) 등 9조, 공고는 상소 등 3조로 되어 있는데, 각 왕의 의식이나 행사 때 승지들이 해야 할 일이 고사와 함께 적혀 있다.

이 중 이고는 승지에 대한 규례가 적혀 있고, 나머지는 왕과 궁중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부록은 통례·제품(提稟)·판부규식(判付規式) 등 3항목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임금에게 상소 등의 글을 올리거나 아뢰는 일과, 그 뒤 임금의 조회와 결정에 대한 규식을 적고 있다.

문체가 간략하고, 내용 중 난해한 구절이나 용어에는 일일이 두 줄로 주해를 달았다. 흥선대원군은 섭정한 이래 많은 제도와 문물을 개편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1865년과 1867년에 『대전회통』·『육전조례(六典條例)』를 편찬하여 법전의 정비를 맨 먼저 이룩하였다.

법전 정비 과정에서 왕명의 출납과 왕의 모든 의식과 조처를 개편된 법 체계에 맞출 필요성이 있었고, 이에 따라 이 책이 편찬되었다.

의의와 평가

『은대편고』를 정리, 보충한 것이므로 그 분량이 『은대편고』보다는 적지만 그 전에 왕의 편람에 제공하기 위해 만든 『은대촬요(銀臺撮要)』보다는 조리가 정연하고 내용도 다양하다.

조선시대 승정원의 기능과 임무를 잘 알려 주는 책이다. 또한, 『육전조례』와 함께 당시의 행정 관행을 살피는 데 좋은 참고 자료가 된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