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덕군 ()

정치·법제
지명
함경북도(咸鏡北道) 북동부 두만강(豆滿江) 하류 연안에 있는 군(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함경북도(咸鏡北道) 북동부 두만강(豆滿江) 하류 연안에 있는 군(郡).
개설

북서쪽은 새별군, 서쪽은 회령시(會寧市), 남쪽은 나선직할시(羅先直轄市), 북동부는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여 있다. 동경 129°55′∼130°18′, 북위 42°16′∼42°39′에 위치하고, 면적 940㎢, 인구 11만여 명(1996년 추정)이다.

명칭 유래

1977년에 김일성(金日成)과 김정일(金正日)의 큰 은덕(恩德)으로 나날이 변모해 가는 고장이라 하여 은덕군이라 이름지었다. 고려시대와 조선 초기, 새별군 지역과 함께 공주(孔州), 공성(孔城), 광주(匡州)라 하였는데, 모두 곰골 또는 검골의 이두식 표기로서 ‘검은골’이라는 뜻을 나타냈다. 이는 지난날 이 지대에 석탄이 많아 땅빛이 검은 것과 관련된다. 한편 추성(楸城)이라고도 하였는데, 이 지역에 많이 서식한 가래나무를 의미하는 ‘추(楸)’자로 표기하였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경원(慶源)이라 개칭하였는데, 이성계(李成桂)가 조선을 건국한 지 7년 째 되던 해인 1398년에 정도전(鄭道傳) 등 그의 측근들이 이성계 선조의 무덤이 있는 이곳을 ‘경사스럽고 흥성할 곳’이라는 의미에서 경흥이라 하였다.

자연환경

은덕군은 전반적으로 낮은 산지와 구릉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변지역에 송진산(1,146m)·수침산(828m)·유현덕산(853m)·까치봉(1,084m)·다탄산(817m)·탑향산(825m) 등 1,000m 안팎의 산들이 솟아 있다.

두만강이 군의 동북경계를 남동방향으로 흐르고, 지류인 덕경천·녹야천·방산천 등이 흐르고 있다. 두만강 연안의 하여평리와 원정리 일대에는 넓은 충적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기반암은 군의 북서부지역은 제3기층, 북동부지역은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제3기층이 발달하고 있는 지층에는 갈탄이 매장되어 있다. 토양은 충적토·갈색산림토·논토양으로 구성돼 있다.

기후는 연평균기온 6.2℃, 1월 평균기온 -10.6℃, 8월 평균기온 21℃이며, 첫서리는 10월 6일 경, 마감서리는 5월 5일 경에 내린다. 연평균 강우량은 650㎜이다.

형성 및 변천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시 경흥군 웅기읍과 노서면이 분리되어 웅기군(뒤에 선봉군으로 개칭)이 신설되고, 풍해면이 분리되어 나진시에 편입되었다. 1963년 12월 용성리가 녹야리에 편입되고, 1965년 1월에는 오봉리가 오봉노동자구로 개편되었다. 1977년 9월 경흥군이 은덕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81년 6월 아오지리가 학송리로, 같은해 10월에는 장안리가 안길리로 이름이 바뀌었다.

2002년 현재 행정구역은 은덕읍 1읍, 귀락노동자구, 농경노동자구, 용연노동자구, 명룡노동자구, 오봉노동자구, 학송노동자구 등 6구, 금송리, 녹야리, 송산리, 송학리, 신아산리, 안길리, 양덕리, 장평리, 철주리, 태양리 등 10리로 구성돼 있다. 군 소재지는 은덕읍이다.

현황

주요 산업은 농산업과 축산업이다. 주요 작물은 쌀·옥수수·콩 등이고, 옥수수는 언덕지대를 비롯한 전지역에서, 쌀은 주로 두만강 연안 일대에서 생산된다. 그 밖에 감자·보리와 채소 등도 생산되며, 공예작물로는 담배와 사탕무가 재배된다. 과일은 회령백살구·배·포도 등이 재배되고, 녹야리와 원정리 일대에서는 꿀벌을 많이 친다. 가축은 주로 소·양·염소·토끼 등 초식동물과 돼지·닭 등이 사육되고 있으며, 닭공장과 오리공장이 있다.

또한 이 군은 함경북도 북부탄전지대에 속하는 주요 석탄산지로서 대규모의 6·13탄광(옛 아오지탄전)이 있다. 화학비료공장·도자기공장·메타놀공장·중탄산안모니움공장 등이 있다. 그 밖에 군내에는 식료품·모피가공·철제일용품·교구비품·가구·의류·직물·토기 등의 공장들이 있다.

교통으로는 두만강 연안을 따라 함북선(청진나진) 철도가 지나고, 지선인 회암선(학송오봉)이 부설되어 있다. 도로는 회령·새별·선봉 방향으로 연결되며, 원정리에는 중국의 훈춘으로 통하는 국경교각이 있었으나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다.

은덕읍 남쪽 구십구곡(九十九曲)에는 이성계(李成桂)의 선조가 이 호수 근처의 덕망산에 거주한 적이 있다고 전하여, 이와 관련된 전설이 있는 적지(赤池, 또는 射龍淵)가 있다. 두만강 연안에 있는 해당화 군락이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하회리에는 만성위염·위궤양 등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청학약수(靑鶴藥水)가 흘러나온다.

군에는 은덕공업대학, 은덕석탄전문학교 및 30여 개의 중학교와 소학교, 문화회관, 도서관, 경기장 등을 비롯한 교육문화시설들과 탁아소, 유치원들이 있다. 또한 은덕군 인민병원, 산업병원과 각 리의 인민병원을 비롯한 예방치료기관들이 있다. 이밖에 탄광 노동자 등의 건강을 위해 휴양시설이 많이 설치되어 있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朝鮮鄕土大百科)·함경북도(咸鏡北道)』(평화문제연구소, 2003)
『북한지지요람(北韓地誌要覽)』(통일원, 1993)
『인물(人物)의 고향(故鄕)·북한편(北韓編)』(중앙일보사, 1991)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