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계룡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작품/문학
창작 연도
20세기 초반
내용 요약

「이계룡전」은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이성희(李成喜), 이계룡 부자의 효성을 주요하게 다루면서, 늙은 노모에 대한 이성희 부부의 효성과 황제에 대한 이계룡의 충심, 남편에 대한 이계룡 부인의 절개를 통해 충·효·열의 유교적 덕목을 구현한 윤리소설이다.

정의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서지사항 및 이본

1권 1책. 국문(國文) 필사본(筆寫本).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나손문고 소장본(구(舊) 김동욱(金東旭) 소장)이 주3이다. 효행(孝行)을 주제로 한 주5이자 효행소설로 다른 이본(異本)이 없다. 다만 20세기 초의 공덕미 수납 용지에 기록되어 현전(現傳)하는 까닭에 신작 구소설로 간주하고 있다.

내용

효자 이성희(李成喜)는 병들고 늙은 어머니를 위하여 산신(山神)에게 빌다가 호랑이를 만나 돼지를 바쳤는데, 그 호랑이가 사슴을 가져다 준다. 이성희는 사슴뿔을 늙은 어머니에게 먹였지만, 어머니는 망령(亡靈)을 부려 며느리를 구박한다.

하루는 이성희가 미인으로 둔갑한 여우에게 홀려 병이 든다. 이성희의 부인이 산신에게 비니 호랑이가 나타나, 남편의 병을 고칠 약을 주는 대신 부인을 잡아먹겠다고 한다. 부인이 호랑이의 말대로 잡아먹히겠다고 하니, 호랑이는 백발노인으로 변하여 부인의 정성(定省)에 감동하였다고 하면서 주8을 준다. 그러나 이성희는 다시 병들어 약을 쓸 사이도 없이 죽는다.

죽어서 저승에 간 이성희는 지옥에서 죄인을 다스리는 참혹한 광경을 보고, 주9에게 다시 인간 세상에 나가 늙은 어머니를 봉양(奉養)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애원한다. 이에 이성희는 죽은 지 한 달 만에 다시 살아나고, 이성희의 어머니는 10년을 더 살다가 죽는다.

이성희의 몸이 쇠약해지자, 아들 이계룡은 자기 살을 도려내어 아버지에게 먹인다. 그러자 이성희의 병이 씻은 듯이 낫는다. 그러나 이성희의 수명이 3년밖에 남아 있지 않음을 안 이계룡은 꿈에 천상(天上)으로 올라가, 자기의 목숨으로 아버지 이성희의 수명을 연장해 달라고

상제(上帝)주23가 이계룡의 효심을 시험해 보고 이성희의 수명을 연장해 주기로 한다. 이계룡은 부모에게 열심히 효도하며 주11와 무술을 공부한다. 산적(山賊) 마철이 이계룡의 됨됨이를 듣고, 이계롱을 자신의 소굴로 끌고 간다. 이계룡은 바위를 던져 도적의 우두머리를 혼내주고 돌아온다. 이에 원한을 품은 도적의 우두머리는 황제에게 이계룡이 역적을 모의한다고 거짓으로 주14한다.

투서를 본 황제는 이계룡을 잡아들여 문초(問招)하고 감옥에 가둔다. 이에 도적의 우두머리가 마음 놓고 황성을 공격하니, 황제는 위험한 처지에 빠진다. 감옥 안에서 이 소식을 들은 이계룡은 감옥의 문을 부수고 나와 적병(賊兵)을 격파하고 황제를 구출한다. 황제는 이계룡이 세운 공을 기려 이계룡을 주20으로 삼으니, 이계룡의 효성과 충성이 온 세상에 빛난다.

의의와 평가

「이계룡전」은 주인공 이계룡 부자의 지극한 효성과, 시어머니에 대한 이성희 아내의 효성, 남편에 대한 정성을 표현한 윤리소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후반부에서는 주인공 이계룡이 산적을 토벌하고 위기에 놓여 있는 황제를 구출함으로써 임금에 대한 충성을 표현하였으므로, 이 작품은 충효를 겸한 윤리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전체적으로 이 작품은 효행의 범주를 아주 크게 설정하는 한편, 충(忠)과 관련한 행위의 범주는 작게 설정하고 있어 ‘대효소충(大孝小忠)’의 구도를 보인다.

이 작품에서 특이한 점은 산신에 대한 신앙이다. 한국의 고전소설에서 산신에게 부모 또는 남편의 병을 낫게 해 달라고 비는 내용은 이 작품에서만 볼 수 있다. 이것은 우리의 민간신앙인 산신 숭배를 소설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 산신이 호랑이로 나타나 주인공들의 효심을 시험하는 것은 우리의 주22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내용이다.

또 주인공들이 저승에 들어가서 염왕에게 부모의 수명을 연장해 달라고 하거나, 천상에 올라가 상제에게 부모의 수명을 연장해 달라고 호소하는 구성은 이 작품만이 지니고 있는 독창적인 것으로,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한국에서의 통속적(通俗的)인 인간의 의지를 잘 표현하였다.

한편, 이 작품에는 ‘ 효행설화(孝行說話)’와 ‘감호이적설화(感虎異蹟說話)’ · ‘생명연장설화(生命延長說話)’ 등 각종 설화가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작품이 민간설화에서 소재를 차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작품은 연속적으로 설화를 이어 줄거리의 골격을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상당히 특징적 면모를 보인다.

참고문헌

원전

『李季龍傳』(단국대학교 율곡도서관 소장본)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1)

논문

김응환, 「「이계룡전」에 반영된 윤리덕목의 소설적 구현」(『민족학연구』 4, 한국민족학회, 2000)
신태수, 「「이계룡전」에 나타난 효담론의 구도」(『한민족어문학』 70, 한민족어문학회, 2015)
주석
주2

손으로 써서 만든 책. 우리말샘

주3

오직 하나밖에 없는 책. 우리말샘

주4

부모를 잘 섬기는 행실. 우리말샘

주5

우리나라 고대 소설의 한 유형. 유교적 윤리와 도덕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우리말샘

주6

문학 작품 따위에서 기본적인 내용은 같으면서도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책. 우리말샘

주7

현재까지 전하여 옴. 우리말샘

주8

신통할 정도로 효험이 있는 약. 우리말샘

주9

저승에서, 지옥에 떨어지는 사람이 지은 생전의 선악을 심판하는 왕. 지옥에 살며 십팔 장관(十八將官)과 팔만 옥졸을 거느리고 저승을 다스린다. 불상(佛像)과 비슷하고 왼손에 사람의 머리를 붙인 깃발을 들고 물소를 탄 모습이었으나, 뒤에 중국 옷을 입고 노기를 띤 모습으로 바뀌었다. 우리말샘

주10

부모나 조부모와 같은 웃어른을 받들어 모심. 우리말샘

주11

병법에 대하여 쓴 책. 우리말샘

주13

도둑 무리의 대장. 우리말샘

주14

드러나지 않은 사실의 내막이나 남의 잘못을 적어서 어떤 기관이나 대상에게 몰래 보내는 일. 또는 그런 글. 우리말샘

주15

죄나 잘못을 따져 묻거나 심문함. 우리말샘

주19

도둑이나 적의 군대. 또는 그런 병졸. 우리말샘

주20

조선 시대에, 의정부에 속하여 백관(百官)을 통솔하고 일반 정치 및 외교의 일을 맡아 하던 정일품 벼슬. 우의정의 위, 영의정의 아래이다. 우리말샘

주22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우리말샘

주23

우주를 창조하고 주재한다고 믿어지는 초자연적인 절대자. 종교적 신앙의 대상으로서 각각의 종교에 따라 여러 가지 고유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불가사의한 능력으로써 선악을 판단하고 길흉화복을 인간에게 내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말샘

주24

세상에 널리 통하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