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행설화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개념
부모에 대한 자식의 효심과 효행을 내용으로 한 설화.
내용 요약

효행설화는 부모에 대한 자식의 효심과 효행을 내용으로 한 설화이다. 불가능한 방법으로 효행을 하거나 그로 인해 기대할 수 없는 결과에 이른다는 이야기로, 자신의 신체 일부나 자식을 희생하여 봉양하기도 하고, 효심이 지극하여 계절에 맞지 않는 물건이나 동물을 감화시키기도 하는데, 효가 이념화되면서 벌어지는 상황에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목차
정의
부모에 대한 자식의 효심과 효행을 내용으로 한 설화.
내용

설화가 되기 위해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는 방법으로 효행을 하거나 그러한 효행으로 흔히 기대할 수 없는 결과에 이르러야 한다. 그러한 요건 때문에 설화로서의 상상과 전개가 흥미로울 수 있다. 유교적인 도덕이 중요시되는 기간 동안 효도야말로 오륜의 으뜸이라고 평가되었기에 많은 효행설화가 문헌에 올랐으며, 훈민(訓民)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효행설화는 효행의 교훈적 기능 때문에 전해지고 재창조되었을 뿐만 아니라, 설화로서의 묘미가 또한 관심을 끌 만하기에 널리 이야기되고 있다. 효행을 강조하는 것이 특정 지역과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는 전설이라면, 설화로서의 묘미가 중요시되는 것은 비특정 지역, 비특정 인물에 관한 민담이다.

문헌에 오른 효행설화는 『삼국사기』 열전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일반 백성에 속하는 미천한 인물이 역사적인 사건과 관련이 없더라도 효행이 예사롭지 않으면 열전에서 다루었는데, 자기 넓적다리 살을 베어 부모의 약으로 삼은 향덕(向德)성각(聖覺), 자기 몸을 종으로 팔아 부모를 봉양하고자 한 지은(知恩)의 경우가 바로 그런 예이다. 『삼국유사』에도 효선편(孝善篇)을 두어 그 비슷한 이야기를 모으는 한편, 부모가 내세에 좋은 곳으로 가게 된다는 불교적 의미의 효행설화도 곁들였다. 손순(孫順)이 부모를 봉양하기 위하여 자식을 땅에 묻으려 했다는 이야기는 희생효설화(犧牲孝說話)의 예이다. 그 뒤 『고려사』 열전에도 효우편(孝友篇)을 두었고, 각종 지리지 · 읍지 등을 편찬할 때마다 지방의 효행설화를 수록하여 귀감을 삼도록 하였다.

그래서 효행설화는 문헌설화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지만 이야기 내용은 그리 다채로운 편이 아니고, 비슷한 요소가 되풀이된다. 자기 신체의 일부를 잘라 부모의 약으로 삼았다든가, 한겨울의 잉어처럼 계절에 맞지 않는 물건을 구했다든가 하는 것은 흔히 볼 수 있는 요소이다. 불교 · 유교적인 주제와 얽힌 효행설화가 소설화된 작품도 적지 않은데, 「적성의전(翟成義傳)」 · 「심청전」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구전된 효행설화는 더욱 다채로운 유형과 흥미로운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에서 희생효 유형이 흔히 볼 수 있는 것의 하나이다. 부모가 병이 들었는데 자식을 죽여 약으로 해야 한다는 말을 듣고 그대로 했더니, 알고 보니 죽인 자식이 주1이었다고 하는 것이 그 좋은 예이다. 하지만 희생효 설화는 「죽은 아들 묻은 효부」처럼 늙은 시부모가 손자를 닭으로 착각해 삶아 먹었지만 이를 모른 척 묻어 버린다는 폭력적인 내용으로 전개되기도 한다.

부모의 병을 고치기 위하여 필요한 약을 도저히 구할 수 없었는데, 정성이 지극한 탓에 우연히 얻거나 명의를 만나 구하였다는 이야기도 적지 않다. 명의를 만나 약을 구하였다는 것은 주2와 연결된다. 부모의 약을 구한 이야기는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없는 매듭을 효자의 정성으로 풀었다는 데 묘미가 있다. 출발점과 결과는 일치하지만, 중간 과정은 아주 엉뚱하기에 흥미를 끈다.

또 한 가지 흔한 유형은 효성이 지극해서 호랑이의 도움을 받았다는 것이다. 효자가 시묘살이를 하는데 호랑이가 지켜 주었다거나, 홀시아버지를 모시고 사는 며느리가 개가하라는 친정의 권고를 물리쳤기에 해치려고 나타난 호랑이가 효성에 감동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그 좋은 예이다. 이 경우에는 효행의 주제에 개가를 금하는 도덕률이 첨가되어 있으며, 호랑이가 사람과 마음이 통하고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신이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작용해서 이야기 전개가 상당히 복잡해진다. 그런가 하면, 효자가 호랑이로 변신했다는 유형도 있다. 병든 어머니의 약인 개를 잡기 위하여 산신령의 도움으로 호랑이로 변신하였던 효자가 아내의 방해로 사람으로 되돌아오지 못하였다는 내용이다.

효행 여부는 대개 평가의 기준이 분명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 따로 살필 필요가 있다. 「효불효교(孝不孝橋) 이야기」에서는 홀어머니가 밤에 외간 남자를 만나러 다니기 좋게 자식들이 다리를 놓았다 하며, 어머니를 위한 효행이 죽은 아버지를 위해서는 불효라고 하였다. 며느리가 홀시아버지를 장가들였더니, 묘한 연유 때문에 며느리가 시아버지의 장모가 되었다는 것도 효행 여부에 시비가 따르는 이야기이다.

불효하는 며느리 또는 아내에게 술책을 부려 효행을 하게 만들었다는 유형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웃음을 일으키는 반전의 이면에 선악 판단의 어려운 과제가 놓여 있다. 유교적인 도덕률이 경직화되면서 효행 여부가 상대적이라는 유형들이 새삼스러운 의미를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 특히 희생효 설화에서는 여성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모성보다 효가 중시되는 가족질서화 기제를 보여 주며, 언제라도 사회적 폭력이 윤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원전

손진태, 『조선민속설화의 연구』(을유문화사, 194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1980∼1988)

논문

신호림, 「희생제의 전통의 와해와 기괴한 효행담의 탄생 - <죽은 아들을 묻은 효부>를 중심으로」( 『고전과해석』 21,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6)
장덕희, 「한국효행설화(韓國孝行說話)의 연구」(『국어국문학』 21,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
정경민, 「자녀희생효설화에 나타난 "효"와 "모성"의 문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최래옥, 「한국효행설화성격연구(韓國孝行說話性格硏究)」(『한국민속학』 10, 민속학회, 1977)
주석
주1

어린아이 모양처럼 생긴 산삼. 우리말샘

주2

병든 부모를 살리는 데 필요한 약을 구하기 불가능한 상황에서, 지극한 정성과 효심으로 우연히 약을 얻거나 명의를 만나게 된다는 내용의 설화.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