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담 ()

유교
인물
조선후기 아산현감, 장악원주부, 임천군수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이칭
경화(景和)
성재(醒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52년(효종 3)
사망 연도
1716년(숙종 42)
본관
전주(全州)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아산현감|장악원주부|임천군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아산현감, 장악원주부, 임천군수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경화(景和), 호는 성재(醒齋).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10대손이며, 금산군수(錦山郡守) 이중휘(李重輝)의 아들이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89년(숙종 15) 스승 송시열이 사사(賜死)되자 광주(廣州)에 은거하였다. 그 뒤 1694년 사산감역(四山監役)에 임명, 한성부판관에 전보되고, 또 아산현감으로 나갔다가 장악원주부·좌수운(左水運)·군자감의 판관을 거쳐 다시 임천군수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풀었다.

유애비(遺愛碑)가 세워졌는데, 100년 만에 처음으로 잘 다스려졌다는 칭송이 있었다. 외삼촌인 김수항(金壽恒)이 사사되자 그의 묘문을 짓고는 다시는 글을 짓지 아니하였다. 관직에 있을 때 법을 엄격히 준수하였으며 옥사를 처결함이 매우 공평하였고, 항상 식구처럼 백성을 사랑하였다 한다.

또 효성이 지극한 것으로도 이름이 높아, 5세에 부친을 여의고 계모를 생모처럼 섬겼으며 맏형을 아버지같이 받들었다 한다. 송종운(宋鍾雲)은 이담의 묘갈명에서 특히 집안과 관직에서의 조행(操行)을 들어 ‘참다운 군자’라고 기리고 있다.

참고문헌

『도곡집(陶谷集)』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