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삼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대한민국임시정부 교통부, 병인의용대 등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이수선, 이영선, 이영전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5년
사망 연도
1926년
출생지
평안북도 철산
관련 사건
육십만세운동
정의
일제강점기 때, 대한민국임시정부 교통부, 병인의용대 등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개설

평안북도 철산 출신. 이봉조(李鳳朝)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독립운동 기간에는 일제의 수사망을 피하기 위해 이수선(李秀善)·이영선(李英善)·이영전(李英全)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활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 16세 때 선천의 신성중학교에 다니면서 이미 임시정부 교통부의 전체사역(傳遞使役)에 임명되어 임시정부의 기밀문서, 독립신문 등을 전달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20세 때 군자금을 모집하여 상해로 망명하려 했으나 국경에서 체포되어 18개월의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상업에 종사하며 때를 기다리던 중 일본 형사를 처단하고 북만주로 망명했으나 1926년 봄 하얼빈에서 다시 일본경찰에게 체포되었다. 그러나 본국으로 호송되다 탈출하여 상해에 도착하였고 곧 병인의용대(丙寅義勇隊)에 가입하였다.

가입 후 상해 일본영사관에 체포되어 있는 최병선(崔炳善)·장영환(張英煥) 두 동지의 구출계획을 추진했으나 일본경찰에 발각되어 뜻을 이루지 못했다. 1926년 4월 16일에는 상해의 중심가에서 일본경찰과 총격전을 벌여 그중 여러 명을 사살해 병인의용대의 의용을 떨쳤다. 이 때 한달 남짓 병상에 있을 정도로 다리에 심한 부상을 입었다.

1926년 융희황제(순종)가 서거하자 병인의용대에서는 인산일을 기회로 전국적인 만세운동 계획을 세웠다. 마침내 6월 1일 제2대장 김엄해(金奄海)의 인솔 아래 이덕삼·고준택(高俊澤)·김광선(金光善) 등은 국내로 잠입하기 위해 중국 기선 순천호(順天號)에 올랐다. 이들은 권총 각 1자루와 폭탄 3개를 소지하고 있었다.

기선이 양수포구(楊樹浦口)를 통과할 즈음 상해 경찰에게 발각되어 영국 관리에 양도되었고 다시 일본영사관에 넘겨졌다. 이덕삼은 일제에게 심문받다 심한 고문으로 인해 6월 7일 순국하였다. 6월 15일 동생 이덕용은 이덕삼의 유해를 찾아냈다.

이덕삼의 장례는 여운형(呂運亨)·안공근(安恭根)·이유필(李裕弼) 등에 의해 독립운동가 공장(公葬)으로 치러졌다. 이덕삼의 유해는 독립운동가들이 많이 묻힌 정안사(靜安寺)에 안치되었다.

상훈과 추모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6·10만세운동연구』(장석흥,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기려수필』(송상도, 탐구당, 1974)
『독립운동사자료집집』제14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독립운동사자료집』제11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高等警察要史』(慶尙北道 警察部, 1934)
『독립신문(獨立新聞)』(1926.8.9)
『동아일보(東亞日報)』(1926.6.9, 19)
집필자
유한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