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 초상 ( )

회화
작품
조선 후기의 문신 이재(李縡, 1680·1745)를 그린 초상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재(李縡, 1680·1745)를 그린 초상화.
구성 및 형식

비단에 설채한 축화(軸畵)로 크기는 97.9×56.4㎝이다. 심의(深衣: 높은 선비의 웃옷)에 복건(幅巾) 차림을 한 유풍(儒風)이 감도는 상용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좌안7분면(左顔七分面)의 복부까지 내려오는 반신상이다. 화법상으로 볼 때 안면은 치밀한 육리문(肉理文)의 재현과 능숙한 훈염법(暈染法)의 사용을 보이고 있다.

내용 및 현황

일본 학자 구마가이(熊谷宣夫)는 「석지(石芝) 채용신(蔡龍臣)」이라는 논문 속에서 이 화상(畵像)의 필자를 채용신이라 보았다. 또한 이 상이 이재의 생존 시에 그려진 것이 아니라 사후 이재의 손자인 이채(李采, 1745·1820)의 초상화(국립중앙박물관 소장)를 기조로 하여 제작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은 채용신 가인(家人)의 진술을 토대로 한 것이라고 하지만 구마가이 자신은 이를 확인하지 못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런데 이 학설은 오주석의 의해 다시 제기되었다. 그는 두 상을 생리학적, 병리학적으로 검토한 뒤 「이재 상」이 「이채 상」을 그린 10여 년 뒤에 이채의 노년기 모습을 그린 또 하나의 이채 상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강관식은 이에 반박하여 「이재 상」의 일부 용모에서 「이채 상」보다 10여년 더 젊게 표현되었음은 오주석의 주장이 모순됨을 의미하며 「이재 상」과 「이채 상」은 동일 인물로 보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이재상의 제작 연대는 여전히 문제점이 남아 있다. 확실히 이재 초상과 이채 초상을 비교해 보면 머리에 쓴 관모(冠帽)와 취세(取勢)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용모가 거의 흡사하여 다른 사람의 초상화로 보기는 어렵다. 그리고 이재가 살았던 18세기 전반에 보편화되었던 화법과 비교해서 이재상의 표현 기법에 매우 정묘한 음영이 들어 있으며 대(帶)에도 선명한 황록(黃綠)·자색(紫色) 등 양화계(洋畵系)의 색조가 현저히 눈에 띈다.

의의와 평가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구 초상화 그 자체의 예술적 가치면에서는 안모(顔貌)의 정치한 필법과 옷주름의 간략한 필선의 대비 등 화면 구성상으로 볼 때 가히 일급이라고 일컬을 만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문화재청·눌와, 2007)
『초상화 연구』(조선미, 문예출판사, 2007)
『한국의 미(美) 특강』(오주석, 솔, 2003)
『한국(韓國)의 초상화(肖像畵)』(조선미, 열화당, 1983)
『한국초상화(韓國肖像畵)』(통천문화사, 1979)
「털과 눈·조선시대 초상화의 제의적(祭儀的) 명제(命題)와 조형적(造形的) 과제(課題)」(강관식, 『미술사학연구(美術史學硏究)』제248호, 2005)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