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 초상 ( )

회화
작품
조선 후기의 문신 이재(李縡, 1680·1745)를 그린 초상화.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재(李縡, 1680·1745)를 그린 초상화.
구성 및 형식

비단에 설채한 축화(軸畵)로 크기는 97.9×56.4㎝이다. 심의(深衣: 높은 선비의 웃옷)에 복건(幅巾) 차림을 한 유풍(儒風)이 감도는 상용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좌안7분면(左顔七分面)의 복부까지 내려오는 반신상이다. 화법상으로 볼 때 안면은 치밀한 육리문(肉理文)의 재현과 능숙한 훈염법(暈染法)의 사용을 보이고 있다.

내용 및 현황

일본 학자 구마가이(熊谷宣夫)는 「석지(石芝) 채용신(蔡龍臣)」이라는 논문 속에서 이 화상(畵像)의 필자를 채용신이라 보았다. 또한 이 상이 이재의 생존 시에 그려진 것이 아니라 사후 이재의 손자인 이채(李采, 1745·1820)의 초상화(국립중앙박물관 소장)를 기조로 하여 제작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은 채용신 가인(家人)의 진술을 토대로 한 것이라고 하지만 구마가이 자신은 이를 확인하지 못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런데 이 학설은 오주석의 의해 다시 제기되었다. 그는 두 상을 생리학적, 병리학적으로 검토한 뒤 「이재 상」이 「이채 상」을 그린 10여 년 뒤에 이채의 노년기 모습을 그린 또 하나의 이채 상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강관식은 이에 반박하여 「이재 상」의 일부 용모에서 「이채 상」보다 10여년 더 젊게 표현되었음은 오주석의 주장이 모순됨을 의미하며 「이재 상」과 「이채 상」은 동일 인물로 보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이재상의 제작 연대는 여전히 문제점이 남아 있다. 확실히 이재 초상과 이채 초상을 비교해 보면 머리에 쓴 관모(冠帽)와 취세(取勢)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용모가 거의 흡사하여 다른 사람의 초상화로 보기는 어렵다. 그리고 이재가 살았던 18세기 전반에 보편화되었던 화법과 비교해서 이재상의 표현 기법에 매우 정묘한 음영이 들어 있으며 대(帶)에도 선명한 황록(黃綠)·자색(紫色) 등 양화계(洋畵系)의 색조가 현저히 눈에 띈다.

의의와 평가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구 초상화 그 자체의 예술적 가치면에서는 안모(顔貌)의 정치한 필법과 옷주름의 간략한 필선의 대비 등 화면 구성상으로 볼 때 가히 일급이라고 일컬을 만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문화재청·눌와, 2007)
『초상화 연구』(조선미, 문예출판사, 2007)
『한국의 미(美) 특강』(오주석, 솔, 2003)
『한국(韓國)의 초상화(肖像畵)』(조선미, 열화당, 1983)
『한국초상화(韓國肖像畵)』(통천문화사, 1979)
「털과 눈·조선시대 초상화의 제의적(祭儀的) 명제(命題)와 조형적(造形的) 과제(課題)」(강관식, 『미술사학연구(美術史學硏究)』제248호, 200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조선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